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김정숙 여사 '문화 외교'…한중 관계 개선 앞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정숙 여사와 펑리위안 여사가 14일(현지시간) 오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공식환영식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중국을 국빈 방문 중인 김정숙 여사가 '문화 외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부인 펑리위안 여사와 문화 공연을 관람하고 중국의 피카소로 불리는 한메이린의 작품을 감상하는 등 한중 관계 개선을 위해 '소프트 외교'를 펼치고 있다.

14일(현지시간)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진행하던 시각에 양국 정상 부인들은 오페라극장인 국가대극원으로 향했다. 당초 차담회가 예정돼 있었으나 펑 여사의 제안으로 계획이 바뀌었다. 김 여사는 펑 여사의 안내로 국가대극원을 둘러보고 기적(중국노래), 오나라(드라마 대장금 주제가), 모리화(중국민요) 등을 감상했다.

김 여사와 펑 여사는 '음악'에 공통점이 있다. 김 여사는 경희대 성악과 출신으로 문 대통령이 부산에서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을 하기 전까지 서울시립합창단 단원으로 활동했다. 김 여사는 방중 첫날인 13일엔 중국의 전통악기인 얼후를 연주하면서 "두 나라가 어울려 소리를 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들었다"고 말했다.

펑 여사는 1980년 예술 사병으로 중국 인민해방군에 입대해 가수 생활을 시작, 중국 내에서 전국적인 유명세를 얻어 국민가수로 불린다. 펑 여사는 중국 전통성악을 전공해 1990년 석사학위를 받았고 중국군 소장으로 가무단장과 예술학원 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2014년 7월 시 주석 방한 때는 만찬장에서 펑 여사의 노래 '희망의 들판에서'가 민간 합창단에 의해 불리기도 했다. 펑 여사는 유네스코 여성·아동교육 특사를 맡는 등 과거 중국의 퍼스트레이디와는 다른 면모를 보이고 있다. 중국 언론들은 펑 여사가 중국에게 부족했던 소프트 파워를 과시하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앞서 김 여사는 이날 오전 베이징 한메이린 예술관을 방문했다. 한메이린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 마스코트 디자인을 총괄한 유명 예술가다. 중국의 피아니스트 랑랑도 함께 했다. 김 여사는 지난 8월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치바이스 전시회 때 한메이린과 만나 작품집을 선물 받았다. 한메이린은 자신의 작품이 그려진 스카프를 김 여사에게 선물했다.
아시아경제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중국을 국빈 방문 중인 김정숙 여사가 14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시 한메이린 예술관에서 작품을 감상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