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국민 10명 중 7명 꼴로 우리사회가 사회계층간 또는 지역간 ‘건강불평등’이 존재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동진 부연구위원의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개발: 통계로 본 건강불평등’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조사대상자 중 67.7%가 사회계층간, 지역간 건강수준에 차이가 있다고 응답했다.
건강불평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또 이렇게 인식한 사람 중 47.9%는 건강불평등이 ‘심각’하거나 ‘매우 심각하다’고 응답했는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인식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동안 객관적 지표를 사용한 건강불평등 연구는 많았지만 주관적 인식도를 측정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위해 주관적 건강과 가치관, 건강불평등에 대한 인식, 건강불평등 원인에 대한 인식, 건강불평등과 기타 불평등 간 비교, 일반적 특성 등으로 영역을 구분해 설문을 구성했다.
이와 함께 건강불평등을 인식하고 있는 사람 중 69.2%는 그것이 불공정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20대 불공정성 인식률이 74.3%로 가장 높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했다. 또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건강불평등 불공정성을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건강불평등 인식도 역시 높아졌다.
연구진은 객관적 건강불평등 지표로 나쁜생활습관, 회피가능사망률격차, 예방가능사망률 격차, 치료가능사망률 격차 등을 산출했다. 분석결과 나쁜생활습관은 교육수준별로 집단 간 격차가 나타났는데, 특히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나쁜 생활습관을 3개 이상 하는 사람들의 분율이 적었고, 하나도 하지 않은 사람 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나쁜생활습관을 3개 이상하는 사람 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주관적 건강불평등 인식지표조사 결과 불평등에 더 많이 노출된 사람들이 건강불평등과 이의 심각성을 덜 인식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사회경제적 위치가 낮은 사람들에 대한 건강증진서비스가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dewkim@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