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홍역 치른 콘진원, 전문성·투명성 높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체부, '한국콘텐츠진흥원 운영 개선 기본방향' 발표

아시아투데이

조현래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정책국장이 13일 서울 광화문 콘텐츠코리아랩(CKL) 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콘텐츠정책 토론회에서 ‘콘텐츠산업 중장기 정책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제공=한국콘텐츠진흥원




아시아투데이 전혜원 기자 =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콘텐츠 장르별로 별도 전담부서를 신설해 정책 기능을 강화하고, 기관 전문성과 지원 사업 투명성을 높인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3일 서울 광화문 콘텐츠코리아랩(CKL) 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콘텐츠정책 토론회에서 ‘한국콘텐츠진흥원 운영개선 기본방향’을 발표했다.

기본방향은 사업추진체계 개선, 조직 개편, 전문성 강화, 소통 활성화, 지원사업 투명성 개선 등 5가지다.

조현래 문체부 콘텐츠정책국장은 “민관 소통 강화로 콘텐츠산업의 도약을 견인하고, 전문성에 기반한 조직 구축과 지원사업의 공정·투명성 제고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우선 행사성 사업을 대폭 축소하고 민간 기업들과 협력해 현장 중심의 사업을 추진하는 쪽으로 기존 사업을 개편하기로 했다. 성과 위주의 사업을 지양하는 대신 콘텐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필요한 콘텐츠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역점을 둘 방침이다.

이와 함께 음악, 패션,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장르별 전담부서를 별도로 신설해 분야별 정책 개발과 현안 대응을 위한 정책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 콘텐츠진흥1본부 아래 있는 게임산업진흥단과 방송산업팀은 각각 별도 본부로 승격한다.

공정 상생, 일자리 창출, 한류 활성화 등 콘텐츠 분야 핵심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전담팀도 신설해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조직을 쇄신한다. 직원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전문직위제 도입 등 인사시스템을 개선해 사업 담당자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현장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분야별, 기능별 협의체를 상시로 운영해 업계와의 소통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지원사업의 투명성을 개선하기 위해 평가위원 명단과 선정 과정을 공개하고 평가 옴부즈맨 제도를 도입한다.

이밖에 업계 요구를 수용해 정부 지원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방안도 추진된다. 콘텐츠 기업이 정부보조금을 받을 경우 이행보증증권 제출을 의무화한 현행 제도를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폐지해 2019년 전면 폐지하기로 했다.

한편 콘진원은 지난해 국정농단 사태에 휘말려 송성각 전 원장이 구속되는 등 내우외환으로 홍역을 치렀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