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한국콘텐츠진흥원, 현장 소통형 기관으로 '전면 개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13일 ‘한국콘텐츠진흥원 운영 개선 기본 방향’ 발표]

지난 박근혜 정부에서 국정농단 사태에 휘말리며 내우외환 홍역을 치렀던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대한 대대적인 개편이 이뤄진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3일 서울 콘텐츠코리아랩 기업육성센터에서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현장 소통형 정책 마련을 위한 ‘한국콘텐츠진흥원 운영 개선 기본 방향’을 발표했다.

지난 7월부터 전문가들로 구성된 콘진원 혁신특별전담팀이 내놓은 이번 발표에선 △사업 추진 체계 개선 △조직 개편 △전문성 강화 △소통 활성화 △지원 사업 투명성 개선 등 5가지 개선 기본 방향을 공개했다.

우선 사업 추진체계 개선 방향으로는 분야별 특성을 고려해 행사성 사업을 대폭 축소하는 등 기존 사업의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현장 중심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민간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전면 개편한다.

조직 개편과 관련해서는 콘진원 특별전담팀(TF)과 업계의 의견을 수렴한 음악, 패션, 애니메이션 등 분야별 전담부서를 별도로 신설한다. 또 분야별 정책 개발과 현안 대응을 위한 정책 기능을 강화하고 공정 상생, 일자리 창출, 한류 활성화 등 콘텐츠 분야 핵심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전담팀을 꾸리기로 했다.

전문성 강화 측면에서는 직원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전문직위제 도입과 부서 배치 시 분야별 전문성 고려 등 인사시스템을 개선한다.

소통 활성화 측면에서는 현장의 의견을 상시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분야별, 기능별 현장 중심의 상시 협의체 운영으로 선진화된 민관 협력 시스템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지원 사업 투명성 개선과 관련해서는 평가위원 명단 완전 공개 등 지원 사업 선정의 전 과정을 공개하고 평가 옴부즈맨 제도 도입, 공모 절차 모니터링 강화 등을 통해 평가 불신으로 저하된 지원 정책의 투명성을 확보한다.

특히 콘텐츠 제작을 위한 정부보조금 지원 시 이행보증증권의 제출 의무화를 ‘2018년 단계 폐지’, ‘2019년 전면 폐지’로 바꾸는 등 고객 지향적 제도로 개선한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콘진원 운영 개선 방향 발표가 실추된 기관의 신뢰를 회복하고 위축된 콘텐츠산업 육성 지원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신임 원장 취임 후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마련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고금평 기자 danny@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