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개정 불가피했다지만…김영란법 '원칙 훼손' 논란 증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헷갈리는 농축수산물 기준 짚어보니

(http://bit.ly/2kp0y2R)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청탁금지법, 이른바 김영란법의 시행령 개정안이 어제(11일) 의결됐습니다. 오늘은 주무부처인 권익위가 대국민보고대회를 열고 개정의 취지를 설명했습니다. 요약하자면 그동안 김영란법이 큰 일은 한 건 맞지만 개정도 역시 불가피했다는 건데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번 개정으로 법의 취지는 분명히 훼손됐다… 이런 지적이 나옵니다.

김태영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 권익위가 밝힌 김영란법 시행 1년2개월의 성과입니다.

하지만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김영란법 시행령은 개정됩니다.

농축수산물로 한정되긴 했지만 선물 한도액이 5만 원에서 10만 원으로 완화된 겁니다.

[박은정/국민권익위원장 : 농축수산물에 생산 감소가 있고 (그래서) 농축수산물의 선물 상한액 정도는 높여야 하지 않겠는가…]

산업 보호를 위한 조치였단 설명이지만 어쩔 수 없이 김영란법의 취지는 훼손이 됐단 비판입니다.

[신동화/참여연대 행정감시센터 : 반부패제도의 기준은 예외없이 원칙적으로 적용돼야 하는 게 맞고요. (가액 조정 대신) 마케팅 지원과 같은 산업 정책적 지원으로 해결하는 게…]

완화의 기준이 모호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농수산물을 원료나 재료로 50% 이상 사용한 가공품을 완화 대상으로 지정했는데 식별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와인 등 농가공품 수입 증가로 국내 농가에 대한 피해보전 효과가 의심스럽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지적에도 권익위는 일단 추가 개정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태영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