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청와대 “한중 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양국 간 ‘사드 갈등’ 감안한 조치인 듯
한국일보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11일 오후(현지시간) 베트남 다낭 크라운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반갑게 미소지으며 악수하고 있다. 다낭(베트남)=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간의 한중 정상회담 이후 공동성명 발표가 없는 것으로 11일 알려졌다. 지난 10월 31일 양국 간 관계 개선 협의 발표 이후에도 중국 측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와 관련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한 것으로 해석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중국 측이 우리와 다른 입장을 표시하고 있어 공동성명을 발표한다면 서로 다른 부분이 나타나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양국은 정상회담 이후 각국 정상의 입장을 담은 공동 언론발표문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에 이번 회담을 통해 사드 갈등을 봉합하고 북한 핵 공조와 양국의 미래지향적 관계를 논의하려던 정부의 계획에 빨간 불이 켜진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13~16일 중국을 첫 국빈 방문할 예정으로, 14일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 핵 문제와 평화적 해결과 양국 간 미래지향적 동반자 관계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어 15일에는 중국의 국회의장 격인 장더장(張德江)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장을 면담할 예정이다. 장 위원장은 옌벤 조선어학당을 졸업하고 김일성종합대학교에서 유학하는 등 북한에서 중국으로 국가지도자급 인사들이 올 때마다 통역을 맡아온 북한 전문가다.

문 대통령은 16일엔 충칭에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청사를 방문해 독립유공자 후손들을 만나는 등 독립운동의 정신과 의미를 되새길 예정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조직된 뒤 상하이에 청사를 두고 활동해오다가 1940년 충칭으로 청사를 옮겼으며, 문 대통령이 이번에 찾는 이 청사가 임시정부의 중국 내 마지막 청사다.

문 대통령은 청사 방문 이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인 천민얼(陳敏爾) 충칭시 서기와 오찬을 갖는다. 천 서기는 올해 제19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원을 건너뛰고 2계급 승진하며 정치국 상무위원에 올라 중국의 차세대 지도자로 꼽힌다.

김회경 기자 hermes@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