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2020년까지 공공부문 사이버보안 전담부서 설치…공공일자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한국인터넷진흥원 주말에도 랜선웨어 비상


전자정부추진위, 2차 위원회 개최

중장기과제로 '액티브 엑스 제거' 선정

【서울=뉴시스】임재희 기자 = 정부가 2020년까지 공공부문에 기관별로 사이버보안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인력을 확충한다. 중장기 과제론 '액티브 엑스(Active X)' 제거 등을 선정했다.

전자정부를 총괄하는 민관협력 기구인 전자정부추진위원회는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17년 제2차 전자정부추진위원회'를 열고 내년 전자정부 핵심방향을 발표했다.

핵심방향은 ▲지능형 인재 양성 ▲공공분야 사이버보안 조직인력 확충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정보자원정책 ▲전자정부 통합적 성과관리 등이 선정됐다.

우선 데이터 직류를 신설해 전문 인력을 충원하고 기술전문성이 필요한 직위엔 민간 경력자의 채용비율을 늘리기로 했다.

공공분야 사이버보안 조직인력 확충방안을 마련, 기관별로 사이버보안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내년부터 공공분야 일자리 창출과 연계해 보안관제·공격분석 등 현장 중심 민간전문가를 중점적으로 채용한다. 사이버보안 전담부서는 2019년부턴 각 중앙부처 본부, 2020년부턴 소속·산하기관 등으로 확대한다.

중장기 정보자원관리계획도 세웠다.

주요 내용으로는 액티브 엑스 제거와 웹사이트 경량화, UI/UX(사용자환경디자인/사용자경험디자인) 적용기준 수립, 신기술 적용을 위한 시험대(테스트베드) 제공, 노후 전자정부서비스 전환, 범정부차원 클라우드 기반 정보자원 운영, 신기술 선제 도입, 수발주체계 전면 개선 등이 담겼다.

전자정부의 투자 효율화, 성과 극대화 등을 위해 '전자정부 통합 성과관리체계'도 구축한다. 기존 시스템 활용도 위주의 성과관리를 거시·통합적인 관리 체계로 전환하고 성과분석 및 진단 결과는 백서로 발간해 공유할 계획이다.

심보균 행정안전부 차관은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와 산업 전반에 융합되는 가운데 국민들은 국가의 주인으로서 직접 정책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열린정부를 요구하고 있다"며 "국민의 기대치에 걸 맞는 지능형 인재를 양성하고 공공부문이 지능정보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을 활성화하는 등 전자정부가 혁신성장을 끌어가겠다"고 말했다.

limj@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