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리얼미터]국민 10명중 6명 "적폐사건, 시한없이 철저히 수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급적 연내 마무리(32.3%)보다 2배 많아

보수층 대다수 연내 마무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적폐사건 수사 시한에 대해 국민 10명중 6명은 ‘시한없이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답했다. 10명중 3명은 ‘가급적 연내 마무리해야 한다’고 했다.

국가정보원의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의혹, 국정원과 군의 온라인 여론조작 선거개입 의혹, 블랙리스트·화이트리스트 의혹 등 이전 정부에서 일어난 이른바 ‘적폐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 시한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11일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가 CBS 의뢰로 적폐사건 수사 시한에 대한 국민여론을 조사한 결과 ‘시한 없이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는 응답이 59.7%로, ‘가급적 연내 마무리해야 한다’는 응답(32.3%)의 두 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 모름’은 8.0%.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이전 정부의 적폐 사건에 대한 검찰수사가 시한 없이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먼저 이념성향별로는 ‘시한 없이 철저 수사’ 응답이 진보층(시한 없이 철저 수사 87.0% vs 가급적 연내 마무리 9.9%)에서는 80%대 후반으로 압도적이었고, 중도층(57.4% vs 34.5%)에서도 60%에 가까운 대다수로 조사된 반면, 보수층(33.7% vs 56.3%)에서는 ‘가급적 연내 마무리’ 응답이 대다수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시한 없이 철저 수사’ 응답이 광주·전라(시한 없이 철저 수사 70.1% vs 가급적 연내 마무리 20.6%)에서 70%를 상회했고, 경기·인천(65.9% vs 28.9%)과 서울(64.8% vs 28.5%) 등 수도권에서는 60%대 중반을 넘었다. 대전·충청·세종(시한 없이 철저 수사 54.3% vs 가급적 연내 마무리 35.7%)과 대구·경북(53.5% vs 38.0%)에서도 역시 ‘시한 없이 철저 수사’ 응답이 절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산·경남·울산(시한 없이 철저 수사 40.2% vs 가급적 연내 마무리 48.5%)에서는 ‘가급적 연내 마무리’ 응답이 오차범위 내에서 우세했다.

지지정당별로는 ‘시한 없이 철저 수사’ 응답이 민주당 지지층(시한 없이 철저 수사 87.6% vs 가급적 연내 마무리 8.9%)과 정의당 지지층(75.9% vs 24.1%)에서 압도적으로 높거나 대다수였고, 국민의당 지지층(45.9% vs 35.7%)에서도 ‘가급적 연내 마무리’ 응답보다 오차범위 내에서 우세했다. 반면 자유한국당 지지층(시한 없이 철저 수사 10.0% vs 가급적 연내 마무리 77.5%)에서는 ‘가급적 연내 마무리’ 응답이 70%대 후반으로 압도적이었고, 바른정당 지지층(24.3% vs 57.0%) 역시 ‘가급적 연내 마무리’ 응답이 대다수로 조사됐다. 한편 어느 정당도 지지하지 않는 무당층(시한 없이 철저 수사45.7% vs 가급적 연내 마무리 43.6%)에서는 상반되는 두 인식이 팽팽하게 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시한 없이 철저 수사’ 응답이 30대(시한 없이 철저 수사 83.5% vs 가급적 연내 마무리 14.7%)에서 80%를 넘었고, 40대(77.2% vs 21.2%)에서도 70%대 후반을 기록했다. 20대(시한 없이 철저 수사 61.5% vs 가급적 연내 마무리 23.3%)에서도 ‘시한 없이 철저 수사’ 응답이 30대와 40대에 비해 낮았지만 60%를 상회했고, 50대(54.2% vs 42.8%)에서도 이와 같은 응답이 절반 이상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60대 이상(시한 없이 철저 수사 31.5% vs 가급적 연내 마무리 51.7%)에서는 ‘가급적 연내 마무리’ 응답이 다수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시한 없이 철저 수사’ 응답이 남녀 모두에서 우세한 가운데, 여성(시한 없이 철저 수사 65.7% vs 24.6%)이 남성(53.5% vs 40.1%)에 비해 12.2%포인트 더 높았다.

한편 이번 조사는 2017년 12월 8일(금)에 전국 19세 이상 성인 9109명에게 접촉해 최종 501명이 응답을 완료, 5.5%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무선(10%) 전화면접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이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