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리얼미터]文대통령 지지율 2주째 약보합..70%대 유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2월1주차 주간집계

11월 이후 6주연속 70%대

TK PK 50대 보수층 상승..수도권 충청권 진보층 하락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전주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6주 연속 70%대를 유지했다.

내년도 예산안 통과가 긍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적폐수사 연내 마무리 불가 발언과 미국의 평창올림픽 참여 관련 혼선 보도는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

11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31주차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를 조사한 결과 전주대비 0.7%포인트 내린 70.8%(매우 잘함 46.1%, 잘하는 편 24.7%)로 2주 연속 완만한 하락세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6주 연속 70%대 초반을 이어갔다. 문 대통령 지지율은 11월 들어 70.3%로 올라선 이후 줄곧 70%선을 유지하고 있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0.6%포인트 상승한 23.4%(매우 잘못함 11.9%, 잘못하는 편 11.5%)를 기록했다. ‘모름/무응답’은 0.1%포인트 오른 5.8%.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격차는 48.7%p에서 47.4%로 소폭 좁혀졌으나, 보수층에서 다시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를 앞서며 모든 지역, 연령, 이념성향에서 긍정평가가 크게 높거나 우세한 것으로 집계됐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주중집계(월~수, 4~6일)에서 70.8%(부정평가 23.8%)로 내렸다가, 내년도 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한 이튿날인 7일(목)에는 72.3%(부정평가 22.1%)로 올랐다. 그러나 검찰총장의 ‘적폐수사 연내 마무리’ 발언에 대한 청와대 고위관계자의 ‘연내 마무리 불가능’ 입장 표명을 둘러싸고 일부 언론의 비판 보도가 이어지고, 미국 측의 평창올림픽 참여 관련 혼선이 보도된 8일(금)에는 70.8%(부정평가 23.4%)로 다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간집계로는 대구·경북(TK)과 부산·경남·울산(PK) 등 영남, 50대, 국민의당·정의당·바른정당 지지층과 무당층, 보수층에서 상승했다. 수도권과 충청권, 30대와 40대, 자유한국당 지지층, 중도보수층과 중도층, 진보층에서 하락했다. 자유한국당을 지지하는 보수층에서는 이탈한 반면,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을 지지하는 보수층은 결집하는 등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보수층의 태도가 지지정당에 따라 분화하는 조짐이 보였다.

주간집계로는 지역별로 경기·인천(-3.2%p, 75.0%→71.8%, 부정평가 22.9%), 대전·충청·세종(-2.0%p, 70.5%→68.5%, 부정평가 25.2%), 서울(-1.9%p, 72.6%→70.7%, 부정평가 23.9%), 광주·전라(-1.7%p, 87.3%→85.6%, 부정평가 10.9%), 연령별로는 30대(-4.0%p, 86.7%→82.7%, 부정평가 13.2%), 40대(-1.9%p, 81.9%→80.0%, 부정평가 17.6%), 지지정당별로는 자유한국당 지지층(-4.5%p, 19.9%→15.4%, 부정평가 78.5%), 이념성향별로는 중도보수층(-8.0%p, 69.6%→61.6%, 부정평가 20.7%)과 중도층(-1.4%p, 74.2%→72.8%, 부정평가 23.4%)에서 하락했다. 반면, 대구·경북(+6.4%p, 59.4%→65.8%, 부정평가 26.1%)과 부산·경남·울산(+1.8%p, 62.8%→64.6%, 부정평가 29.4%), 50대(+1.4%p, 63.8%→65.2%, 부정평가 28.7%), 국민의당 지지층(+10.4%p, 60.3%→70.7%, 부정평가 21.6%)과 정의당 지지층(+8.6%p, 86.7%→95.3%, 부정평가 4.7%), 바른정당 지지층(+3.8%p, 52.8%→56.6%, 부정평가 30.6%), 무당층(+2.1%p, 51.0%→53.1%, 부정평가 28.3%), 보수층(+5.5%p, 40.9%→46.4%, 부정평가 45.7%)에서는 상승했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리얼미터가 CBS 의뢰로 2017년 12월 4일(월)부터 8일(금)까지 닷새 동안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4만6171명에 통화를 시도해 최종 2517명이 응답을 완료, 5.5%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무선 전화면접(10%),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방식,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p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리얼미터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이데일리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