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아직도 사드 문제를 거론하거나, 일본도 한일 위안부 문제를 내세워 자국 정상의 평창올림픽 참석을 매개 고리로 활용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일본은 한일 위안부 합의 검증 태스크포스의 작업 결과가 합의 파기에 가까운 의견일 경우 아베 신조 총리가 개막식에 참석하기 어렵다는 뜻을 비쳤다는 것이다. 지난 9월엔 로라 프레셀 프랑스 체육부 장관이 평창올림픽 불참 운운했다가 접은 적이 있다. 북한의 추가 도발 시 미국과 국제사회의 고강도 제재가 표면화될 수 있으니 평창올림픽 안전 여부를 보는 세계의 시선은 이론의 여지 없이 북한의 태도에 달려 있다. 여하튼 신성한 스포츠 제전인 동계올림픽이 한일 관계나 북핵 미사일 위협 같은 정치 이슈에 흔들리는 상황에는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우리 정부는 평창올림픽에 주변국 정상을 초청하고 북한 선수단 참석도 끌어내 이를 계기로 역내 긴장을 완화해보려 하는데 만만치 않다. 청와대는 미국 선수단 참가 논란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때 평창에 직접 참석하기 힘들면 가족이라도 보내겠다고 말했다고 공개했는데 일 터지자 뒤늦게 나선 꼴이라 개운치 않다. 차라리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북한 방문을 추진 중이라는 소식에 더 주목한다. 평창에 북한의 참석을 유도하려는 노력일 테니 올림픽 게임을 주관하는 국제스포츠기구 차원에서의 이런 움직임이 더 바람직하다. IOC 헌장에 명기돼 있듯 정치와 스포츠는 구분되고 엄격히 분리하는 것이 맞는다. 혹여 평창올림픽 참가를 빌미로 어떤 정치적 이득을 꾀하는 거라면 거센 국제적 비난에 직면할 것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