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탄핵안 가결 1년…정당마다 달랐던 '촛불 민심' 해법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지 1주년이 되는 9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은 모두 탄핵 1주년을 맞는 소회를 밝혔지만 어떻게 ‘촛불민심’을 받들지에 대한 해법은 각기 달랐다. 민주당은 ‘적폐청산’을, 국민의당은 ‘개헌과 선거제도 개혁’을, 바른정당은 ‘헌법정신 수호’를 강조했다. 자유한국당은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민주당 강훈식 원내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에서 “지난 1년은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어달라는 염원을 위해 노력한 시간이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며 “아직 곳곳에 남아있는 적폐를 걷어내고 민생을 개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원내대변인은 “여소야대 정국이 때로는 한계로 느껴지지만, 촛불민심의 염원을 위해 ‘나라다운 나라’를 만드는 데 더욱 철저히 복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평등과 불공정, 부정부패를 뿌리 뽑아달라는 것이 1년 전의 촛불민심이었다고 생각한다”며 “이를 받들고 민생개혁을 위해 국회에서 무한한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일보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가 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더미래연구소와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실 공동 주최로 열린 탄핵소추안 가결 1주년 토론회에서 "나라다운 나라를 꿈꾼 촛불 정신이 부끄럽지 않은 국회가 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발언하고 있다.연합


국민의당 이행자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 1주년을 맞아 국민의당은 개헌과 선거제도 개혁을 주도해 촛불민심 그대로를 받들 것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또 “국민의당은 박 전 대통령 탄핵 국민서명부터 시작해 국회 내에서

탄핵을 주도했다”고 자평하면서 “정권교체가 됐지만, 촛불민심을 왜곡하는 승자독식의 싸움판 정치는 여전하다. 빈부 격차와 양극화, 불평등은 심화되는데 검찰·언론·재벌개혁의 숙제는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새 정부는 ‘기득권 지키기’를 위해 한 치의 양보도 없다”며 “공공기관 낙하산 인사가 여전하고, 언론개혁을 말하면서도 방송법 개정에는 소극적”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번에도 국민의당이 나서야 한다”며 “선거제도 개혁을 통해 정치가 민의를 그대로 대변하도록 해야 하고, 또 헌법은 제왕적 대통령제를 분권과 협치의 새로운 권력구조로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탄핵을 계기로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에서 분당된 바른정당 유의동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헌법적 가치는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수석대변인은 “탄핵의 과정은 고통스러웠지만 우리는 헌법적 가치를 지키기 위한 결정을 내렸다”며 “(그런 결정을 내리게 된 것은) 헌법 제1조가 말하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는 사실과 함께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사실이 갖는 힘과 준엄함을 결코 거스를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는 시대가 우리에게 요청하는 길을 갈 것”이라며 “대한민국의 헌법을 수호하고, 제대로 된 보수를 재건하는 길을 계속해서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한국당은 탄핵 1주년과 관련된 별다른 논평을 내놓지 않았다.

홍주형 기자 jh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