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文대통령 방중대비는? 사드보복 해제 '완결'·북핵해법 공조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말 이틀 외부일정 없이 수시 참모진 보고·논의

한중수교 25주년 맞아 양국관계 복원 목표

뉴스1

(청와대 페이스북) 2017.11.12/뉴스1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서미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뒤 첫 중국 순방을 사흘 앞둔 10일 공식 일정을 비우고 한중정상회담 대비에 주력한다.

이날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필요 시마다 국가안보실과 정책실 등 관련 참모진의 보고를 받으며 방중 관련 논의를 이어간다. 전날에 이어 주말 동안 특별한 외부일정 없이 순방 준비에 매진하는 것이다.

청와대의 목표는 이번 한중정상회담을 통해 사드(THAAD) 한반도 배치 문제로 인한 양국 간 갈등에 마침표를 찍고,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공조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은 올해 양국 관계를 실질적으로 복원하고, 나아가 미래지향적 관계발전의 계기로 삼겠다는 취지다.

문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초청으로 오는 13일부터 3박4일 일정으로 중국을 국빈방문한다. 순방 중 시 주석과의 세 번째 정상회담과 국빈만찬, 리커창 총리 등 중국 주요 지도자와의 만남이 계획돼 있다.

핵심은 '사드 문제'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 10월31일 사드 협의 결과에 따라 '봉인'된 사드 이슈는 정상회담 테이블에 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시 주석은 지난달 다낭에서의 한중정상회담에서 사드 배치 반대 입장을 밝히며 '책임있는 자세'를 언급했다.

이에 이번 방중 때 시 주석이 사드 문제를 제기할지 관심이 쏠린다. 청와대는 사드가 거론되지 않는 것을 '최상의 시나리오'로 기대하고 있지만, 중국이 '국내용 메시지'를 위해 사드와 관련한 보다 명확한 한국의 입장 확인을 또다시 제기할 가능성이 있다.

북핵 문제와 관련해 한중 간 공조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도 포인트 중 하나다. 시 주석은 '쌍중단'(雙中斷·북핵·미사일 도발 중단과 한미연합훈련 중단)과 '쌍궤병행'(雙軌竝行·비핵화 프로세스와 평화협정 동시진행)을 대북 해법으로 강조하고 있어 문 대통령의 공조 요청 수위가 어느 정도가 될지도 관심사다.

일각에선 문 대통령이 미국이 중국에 요구하는 대북 원유공급 중단 등을 요청할 가능성도 점친다. 다만 중국은 최근의 북한 도발 이후에도 이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내비치고 있는 상태다.

청와대는 이와 관련 지난 5일부터 나흘간의 방북 일정을 마친 제프리 펠트먼 유엔 정무담당 사무차장이 한반도 현안과 관련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지도 주시하고 있다.

전날(9일) NHK방송에 따르면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펠트먼 차장을 7년만에 북한으로 파견한 이유에 대해 "비핵화 실현을 위한 대화의 틀을 만드려 했다"고 설명해 일종의 '중재안'이 제시됐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문 대통령은 13~14일 베이징에 이어 15~16일엔 충칭을 방문한다.

충칭은 시 주석이 추진하는 현대판 실크로드인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시작점이자, 현대자동차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대기업들이 진출한 지역이기도 해 경제분야에서의 한중관계 정상화에 방점이 찍힐 것으로 예상된다.

역사적 의미도 있다. 충칭은 일제강점기 시절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가 있던 곳이다. 현직 대통령의 충칭 방문은 이번이 처음이다.
smith@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