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린성 ‘핵전쟁 기사’ 이어 논란
“악화된 북중관계 반영” 해석도
지난 6일 중국 인터넷에 유포된 지린성 바이산시 창바이현 일대 북한 난민수용소 설치 작업 암시 문건. 웨이보 |
중국이 북한과의 접경지역에 난민수용소 5곳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중국 현지 관영매체의 핵무기 대처 요령 보도와 마찬가지로 지난달 29일 북한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 이후 고조되고 있는 북핵 위기감의 반영으로 풀이된다. 중국 정부는 그러나 관련 해석을 부인하며 여전히 상황관리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자유아시아방송(RFA)과 홍콩 동망(東網) 등은 8일 북중 접경지역인 중국 지린(吉林)성 바이산(白山)시 창바이(長白)현 정부가 한반도 전쟁 발발에 대비해 북한 난민수용소 5곳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들 외신은 중국 국영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의 창바이 분사 명의로 된 내부 문건을 근거로 제시했다. 지난 6일 중국 인터넷에 유포됐던 이 문건은 현재 모두 삭제된 상태다.
해당 문건은 “북한 변경의 정세 긴장으로 창바이현 공산당위원회와 현 정부가 5곳에 난민수용소 건설 계획을 입안했다”면서 “이에 따라 창바이 분사는 수용소 통신 장비 설치 준비 작업을 책임졌다”고 적시했다.그러면서 “네트워크 범위를 확보하고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12월 2일 창바이 분사 직원들이 수용소 부지 현장에 대한 통신 측량작업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문건에는 또 구체적인 수용소 예정 부지로 압록강 건너 북한 양강도 혜산시 및 김정숙군을 마주하고 있는 옌장(沿江)ㆍ스바다오거우(十八道溝)ㆍ지관라쯔(鷄冠砬子) 등지가 거론됐고, 이들 지역의 폐교와 공공시설 등을 활용하는 방안이 명기됐다. 백두산 인근에 위치한 창바이현은 북한과 국경선을 260여㎞ 맞대고 있어 난민수용소 최적지로 꼽혀온 지역이다. RFA는 “창바이현 정부가 난민촌 건설 계획을 부인하고 있으며 현재 문서 유출 경위를 추적 중”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린성 정부는 지난 6일 당 기관지인 길림일보에 ‘핵무기 상식과 대응방법’이란 제목의 1개면 기획기사를 실어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해당 지면에는 한반도 전쟁 발발을 기정사실화하는 기사도 포함돼 있었다. 인터넷으로 해당 기사들이 전파되면서 파장이 커지자 지린성 정부는 뒤늦게 “일반적인 국방교육의 일환”이라고 해명했다.
일각에서는 이런 보도들에는 악화된 북중 관계가 투영된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특사가 북한에서 냉대를 받은 뒤 북한 대륙간탄ICBM 추가도발이 있었고 이후에 해당 보도들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관련 해석을 부인한 채 이날도 대북 원유공급 중단 가능성과 관련, “일관되고 전면적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를 집행하고 있다”는 입장만 밝혔다. 한반도 주변 상황이 더 악화하지 않도록 북중관계를 포함해 상황관리에 주력하겠다는 의미다.
베이징=양정대 특파원 torch@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