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국산 참나무 오크통 숙성 와인 맛은?"…영동서 대량생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큰 나무 없어 100ℓ·60ℓ 중소형 크기 생산, 원가 절감 효과

폴리페놀 성분 많고, 황산화도 28%↑…깊고 그윽한 맛 더해져

(영동=연합뉴스) 박병기 기자 = 국산 참나무 오크통에서 익힌 와인 맛은 어떨까.

국내 유일의 포도·와인산업 특구인 충북 영동에서 머잖아 국산 참나무통으로 숙성시킨 와인이 나온다.

연합뉴스

국산 오크통 제작 현장 [영동군 제공=연합뉴스]



영동군은 목공 전문업체인 영동오크통제작소(대표 정충호)가 국산 참나무 원목으로 주류 숙성통을 제작해 관내 와이너리에 공급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이 중 10여곳은 올해 담근 햇 와인을 이 통에 담아 숙성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와인 숙성기간이 대개 6개월 이상인 점을 고려하면 이르면 내년 초 100% 토종 와인이 시중에 선보인다.

이 업체가 만드는 오크통은 5ℓ부터 225ℓ까지 모두 6종류다. 유럽산의 경우 개당 180만원을 웃도는 225ℓ짜리도 국산 가격은 110만원 정도로 저렴하다.

영동군은 토종 와인의 차별화된 맛을 내면서 생산 원가를 줄이기 위해 2년 전 국산 오크통 제작에 뛰어들었다.

U1대(옛 영동대) 와인발효식품학과 최해욱 교수팀에 의뢰해 국산 오크통이나 오크칩(나무조각)을 이용해 숙성시킨 와인에서 폴리페놀 성분이 7%, 황산화도는 28% 높아지는 것도 확인했다.

연합뉴스

국산 참나무로 만든 미니어처 오크통 [영동군 제공=연합뉴스]



국산 원목에 떫은 맛을 내는 탄닌성분이 많은 점만 극복해 내면 외국산보다 깊고 그윽한 맛의 와인생산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긍정적인 분석 결과를 받아든 군은 미니어처 오크통 제작 경험이 있는 정 대표와 손잡고 오크통 국산화에 공을 들였다.

그러나 국내에 지름 1m 가까운 대형 참나무가 흔치 않다 보니 원목 확보가 문제였다. 그래서 착안한 것이 100ℓ와 60ℓ짜리 중소형 오크통이다.

이 정도 크기는 국산 원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기능이나 숙성효과 면에서 손색이 없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군과 제작소 측은 5ℓ·10ℓ·20ℓ짜리 미니어처 제품도 연이어 선보였다.

비록 크기는 작지만, 큰 것과 동일한 생산 공정을 거쳐 실제로 와인이나 증류주 숙성이 가능한 제품이다.

군 관계자는 "국산 원목을 사용해 30% 이상 오크통 가격을 낮추면서 차별화된 국산 와인 맛을 낼 수 있게 됐다"며 "미니어처 제품은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인기가 높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국산 오크통 제작 현장 [영동군 제공=연합뉴스]



이 지역에는 전국의 10%인 1천323㏊의 포도밭이 있다. 경북 영천·상주에 이어 국내에서 3번째로 포도가 많이 나는 곳이다.

군은 10여년 전부터 '101가지 맛을 내는 와인산업 육성'을 목표로 농가형 와이너리 지원에 나서 43곳을 조성됐다.

이곳에서 생산된 와인은 국 내외 각종 대회를 휩쓸면서 '명품' 대접을 받고 있다.

bgipark@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