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아시아투데이 에너지포럼] 박원주 산자부 에너지자원실장 "제 8차 전력수급계획 연내 확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최현민 기자 = 박원주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은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제4회 아시아투데이 에너지 혁신 포럼’에서 ‘에너지정책 전환의 필요성’과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에 대해 밝혔다.

이날 박 실장은 축사를 통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함에 따라 우리나라가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와 미세먼지 없는 환경에 대한 요구가 국민들 사이에서 커지고 있다”며 “안전과 환경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반영해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방향으로 에너지 정책의 저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OECD 국가의 석탄발전 비중은 역대 최저로 떨어진 반면 신재생과 가스 발전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저렴한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에 치중한 나머지 안전에 관한 고려가 미흡했다”며 에너지정책 전환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박 실장은 “우선 원전과 석탄 발전의 비중을 중리고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에너지 믹스를 바꿔나가겠다”며 “지난 10월 24일 발표한 에너지 전환 로드맵에 따라 노후 원전 수명연장 금지,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 등을 통해 단계적으로 원전을 감축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원전해체산업 육성 및 원전 수출을 통해 원전건설 중단에 따른 빈자리를 보완하고, 석탄화력 발전소에서 배출하는 미세먼지를 감축하는 노력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후 석탄화력 발전소 7기는 폐지를 앞당기고, 운영중인 석탄화력 발전소는 2030년까지 12조원을 투자해 환경설비를 개선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발전소가 배출하는 오염물질 규모를 2030년까지 60% 줄이겠다는 목표다.

또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를 재생에너지로 공급하고 전체 신재생 발전량 중 태양광과 풍력 비중을 80%로 확대해 선진국형 재생에너지 믹스를 달성하겠다”며 “지자체가 재생에너지 보급의 주도적 역할을 맡도록 지원하고 지역 주민들의 수용성을 높이는 등의 내용을 포괄해 2031년까지의 연도별 계획을 담은 ‘제8차 전력수급계획’을 연내 확정하겠다”고 다짐했다.

둘째로 에너지 전환과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에너지 공급 시스템과 수요관리 전반을 혁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 실장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해 에너지 공급·수요관리 체계를 스마트하게 바꾸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있을 고리 1호기 해체를 계기로 원전해체 산업도 고부가 신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겠다”며 “440조원 규모의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 진출을 위해 미확보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기술연구소 건립, 전문인력양성 등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