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인천 송도 LNG 누출 사고 안전불감증 따른 ‘인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계결함 감독 소홀 원인


인천 송도 액화천연가스(LNG) 기지의 가스 누출 사고는 안전불감증에 의한 '인재'로 판명됐다.

20일 인천시와 한국가스공사 등에 따르면 지난 5일 한국가스공사 인천기지본부에서 발생한 LNG 누출 사고는 기계적 결함에 의한 감독 소홀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인천기지본부는 부유식 센서(탱크에 가스가 얼마나 차 있는지 액위계에 신호를 보내는 장치) 고장 시 운영을 멈춰야 한다는 규정이 없기 때문에 나머지 부유식 센서 1개에만 의존해 평상 시 대로 1호 탱크를 가동했다.

그러다 한달여 만인 지난 5일 오전 이마저도 오작동 했고 이를 알아차릴 다른 센서가 없는 상황에서 가스가 넘쳤다. 안전불감증에 따른 전형적인 '인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탱크 1호기의 액위계(탱크 내 가스 높이 측정기) 2개 중 1개가 고장 나 프랑스 기술자가 수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나머지 1개 마저 고장났다. LNG 수위는 30.9m가 한계지만 수위가 31m를 넘으면서 LNG가 내조탱크에서 외조탱크로 흘러들어갔다.

액위계 부유식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이때까지 가스공사 직원들은 가스 누출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외조탱크 온도센서(최대 3m)가 1m 지점까지 올라가서야 비상벨이 울려 누출 사실을 확인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는 사고였다.

이번 사고가 단순한 사고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스공사는 산업통산자원부에 신고했지만 주민들에게는 알리지 않아 사고 은폐 의혹을 받고 있다. 주민들은 사고 1주일 후에야 사실을 알게 됐다.

사고 발생 시 가스공사는 시.도지사에게 사고 사실을 알려야 할 의무가 있지만 관련 법령에 '즉시'란 단어가 빠져있어 자치단체가 빠른 대응을 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인천시는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가스공사와 협의해 사고 대응 매뉴얼을 개정하고, 인천 LNG 기지에서 사고 발생할 경우 시 재난안전시스템에도 즉시 통보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을 추진키로 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