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선동열호, 16일 일본과 결전…'도쿄돔' 적응이 관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지난 14일 오전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에서 아시아프로야구챔피언십(APBC) 한국 야구대표팀 선수와 코칭스태프들이 대회가 열릴 일본 도쿄로 출국하기 앞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연합뉴스


메트로신문사

아시아프로야구챔피언십(APBC) 한국 야구대표팀 김하성, 구자욱 등의 선수와 코칭스태프들이 지난 14일 오전 대회가 열릴 일본 도쿄 하네다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시아프로야구챔피언십(APBC) 대표팀이 도쿄돔 신화를 쓸 수 있을까.

선동열 감독이 이끄는 APBC 대표팀은 14일 일본 도쿄에 도착해 16일 일본, 17일 대만과 결전을 준비하고 있다. 대회 개막 하루 전인 15일에는 도쿄돔에서 2시간 30분 가량의 공식 훈련을 진행했다.

'도쿄돔 적응'은 대표팀의 최우선 과제다. 24세 이하, 프로 3년 차 이하의 선수로 구성된 APBC 대표팀에게 도쿄돔은 미지의 영역이기 때문. 엔트리 25명 중 도쿄돔에서 야구를 해본 선수는 한 명도 없다.

도쿄돔에서의 훈련과 경기가 중요한 이유는 또 있다. 이번 대회에 이어 2019년 프리미어 12, 2020년 도쿄올림픽, 2021년 WBC 모두 도쿄돔에서 펼쳐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젊은 선수들에게는 이번이 기회다.

선동열 감독을 비롯한 코치진은 지난 4일 대표팀 소집 이후 선수들에게 도쿄돔의 특징을 꾸준히 알려줬다. 선 감독은 "도쿄돔 원정 불펜은 매우 좁다. 2명이 들어가면 가득 찰 정도"라며 "불펜에서 던지다가 도쿄돔 마운드에 올라가면 매우 멀게 느껴지기 때문에 불펜 피칭할 때 일부러 더 먼 거리에서 던지도록 훈련했다"고 설명했다.

홈런이 많이 나오는 것도 도쿄돔의 특징이다. 특수 유리 섬유 소재로 만들어진 지붕을 부풀리려면 상승 기류가 필요한데, 이에 따라 타구가 다른 구장에 비해 더 멀리 날아간다.

다행인 점은 대표팀이 그동안 고척 스카이돔에서 훈련을 진행해온 것이다. 돔이라는 점에서 분위기가 비슷하고 천장도 두 개 구장 모두 하얀색인 만큼 뜬공 처리를 대비할 수 있었다. 다만 고척돔에는 내야를 둘러싼 흙길이 있는 반면 고척돔은 베이스 주변에만 흙이 있고, 잔디의 느낌도 다르다.

또 보통 야구장의 외야 펜스가 호선(활 등 모양으로 굽은 선)을 그리는 것과 달리, 도쿄돔 외야는 중앙 펜스 쪽에 꼭짓점이 있는 뾰족한 형태라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선 감독은 "도쿄돔은 1991년 한일 슈퍼시리즈에서 처음으로 가봤다. 당시에는 나도 나름대로 경험이 많았는데, 도쿄돔 마운드에 서니 정말 긴장되더라. 우리 선수들이 제 기량을 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선 감독을 비롯해 이종범, 정민철 등 일본에서 뛰었던 경험이 있는 '지일파' 코치진이 대표팀에 노하우를 전수하고 있지만 실전은 다르다. 대표팀이 도쿄돔 적응 임무를 완수하고 우승의 기쁨을 안길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민서 기자 min0812@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