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韓, 유정용 강관 반덤핑 WTO 분쟁에서 美에 승소 판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조선일보DB.



세계무역기구(WTO)가 미국으로 수출하는 한국산 유정용 강관(OCTG)에 대한 미국의 반덤핑 관세 조치는 협정 위반이라는 판정을 내놓았다. 미국의 불합리한 철강 수입규제에 대한 제소에서 한국 정부가 승소한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WTO가 14일(현지시각) 미국이 2014년 한국산 유정용 강관에 부과한 반덤핑관세 조치는 WTO 협정 위반이라는 취지로 한국이 주요 쟁점에서 승소한 패널보고서를 공개회람했다”고 15일 밝혔다. 유정용 강관은 원유와 천연가스를 채취할 때 사용하는 고강도 파이프다.

산업부는 “WTO 분쟁해결 패널은 미국이 구성가격에 의한 덤핑률을 산정하면서 한국 기업의 이윤율이 아닌 다국적 기업의 높은 이윤율을 사용해 덤핑마진을 상향조정한 것이 WTO 협정에 위반된다고 판정했다”라며 “이는 덤핑률에 영향을 주는 주요 쟁점에 대한 분쟁에서 한국의 손을 들어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성가격은 반덤핑 조사 과정에서 해당국의 정상가격이 없을 경우 수출자가 제출한 정보를 사용해 조사당국이 계산한 가격이다. 보통 제조원가와 판매관리비, 이윤을 모두 더한 값으로 책정한다. 그러나 미국 상무부는 한국산 유정용 강관의 미국 수출 가격을 비교할 때 한국 내수 가격이나 제3국 수출가격을 기준으로 구성가격을 산정하지 않고, 상무부에서 임의로 계산한 가격으로 덤핑률을 산정했다는 것이다.

산업부는 “패널 판정 내용이 확정되고 미국도 이를 받아들여 이행절차를 완료할 경우 현재 한국산 유정용 강관에 부과되고 있는 반덤핑 조치가 종료돼 한국 제품의 대미 수출 여건이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상무부는 2014년 7월 현대제철과 넥스틸, 세아제강 등에 9.9~15.8%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당시 국내에서 생산된 유정용 강관의 약 98%는 미국으로 수출됐다. 2013년 유정용 강관의 대미 수출은 89만4000톤, 약 8억1700만 달러 규모였다. 한국산 유정용 강관은 미국 내 반덤핑 조사대상 9개국 제품 전체 수입량인 159만8000톤 중 56%를 차지했다. 미국 상무부는 올해 4월 열린 반덤핑 관세 연례재심에서는 한국산 유정용 강관의 덤핑률을 최고 29.8%로 상향조정하기도 했다.

다만 WTO는 일부 쟁점에 대해선 한국 측의 주장을 수용하지 않았다. 관계사거래, 제3국 수출가격 불안정, 의견제출기회 미제공 등 미국 상무부 반덤핑 조사과정상의 문제점에 대해선 문제라고 인정받지 못했다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산업부는 해당 쟁점에 대해서는 법리를 검토하고 업계와 전문가 협의를 거친 뒤 상소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WTO 협정에 따르면 판정 결과에 대해 분쟁당사국은 패널보고서 회람 후 60일 내에 상소할 수 있다. 상소 결과는 약 3개월 후에 회람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패널 판정을 통해 미국 반덤핑 조치의 위법성을 확인했다”라며 “(이번 판정이)최근 확산하고 있는 보호무역조치를 견제하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앞으로도 주요 교역상대국이 한국 기업에 대해 부당한 수입규제 조치를 내릴 경우 WTO 제소 등을 통해 대응해 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세종=전성필 기자(feel@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