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文대통령 “한·중 사드 제쳐두고 관계 정상화에 합의한 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행기자단 간담회서 밝혀 / 시진핑·리커창과 연쇄회담 평가 “다음 방중 땐 사드 의제 안될 것… 中 여전히 안보이익에 침해 입장” / 한·미 연합훈련 등 ‘쌍중단’ 질문엔 “北과 대화 땐 모든 방안 상정해 협의” / 트럼프 印·太 안보 참가 제안에는 “처음 듣는 얘기… 입장 표명 유보”

세계일보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일단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는 제쳐두고 한·중관계는 그와 별개로 정상화하고 더 발전시켜 나가자는 것에 양국이 크게 합의를 한 셈”이라고 말했다.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 참석차 필리핀을 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마닐라 한 호텔에서 가진 동행 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중국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리커창(李克强) 총리와 가진 연쇄회담 결과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그러면서 “아마 다음 방중 때에는 사드 문제는 의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고, 그때는 양국 관계를 더욱더 힘차게 발전시키기 위한 여러 방안이 논의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 대통령은 지난 11일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12월 방중 초청을 받고 이를 수락한 바 있다.

세계일보

동남아 순방 성과 설명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후(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 젠 호텔의 프레스룸을 방문해 한국기자단에게 동남아시아 3개국 순방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 마닐라=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당시 시 주석이 사드 문제를 언급한 데 대해 “앞서 양국 외교실무 차원에서 (10월31일) 합의가 된 것을 양 정상 차원에서 다시 한번 확인하고 넘어간 것이라고 이해한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사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며 “중국이 사드 찬성 입장으로 바뀐 것은 아니며 여전히 중국의 안보이익이 침해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사드가) 중국을 겨냥한 것이 전혀 아니고 오로지 북한 핵과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 안보를 위해 필요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며 “일단 그것으로 사드 문제는 봉인된 것이며, 그 이후 여러 정상회의나 러시아 총리와의 회담 때에도 사드 문제는 전혀 언급된 바 없다”고 강조했다. 현재 경북 성주에 ‘임시’배치된 것과 관련해서는 “현재 일반 환경영향평가를 하고 있는 중이며, (최종 배치 여부는) 정치적 결단 문제가 아니라 법절차에 따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리 총리와의 회담에서는 중국의 사드 보복조치로 인해 한국 기업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는 점을 짚었다. 특히 지난 7월 말 청와대 만찬에서 구본준 LG 부회장이 직접 “중국이 일본 것은 되고 우리 것은 안 된다고 한다”고 호소했던 한국산 전기차용 배터리에 대한 제재 철회 등 양국 경제 현안을 구체적으로 거론했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그동안 양국 관계가 위축되면서 우리 기업들이 겪었던 여러 애로사항을 이제 해결해 달라고 요청을 드렸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한·중관계 개선을 비롯해 ‘북핵 불용’원칙에 대한 동아시아 각국의 지지, ‘신남방정책’에 대한 아세안 10개국의 공감을 이끌어낸 점을 지난 8일부터 이어진 동남아 순방의 성과로 꼽았다. 문 대통령은 “북한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이를 위한 제재·압박의 강도를 더 높게 한다는 점에 모든 나라 의견이 완벽하게 일치했다”며 “중국과 러시아도 북핵 불용이라는 우리 입장을 완전히 지지하며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안의 철저한 이행을 약속했다”고 말했다.

‘쌍중단’(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 동시 중단)이라는 중국 주장 수용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현 단계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묻는 것은 ‘우물가에서 숭늉 찾는 격’”이라면서도 “일단 (북한과) 대화에 들어간다면 모든 방안을 열어놓고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대화 국면이 조성돼야 미국 등 국제사회와 함께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협의할 수 있다는 얘기다. 문 대통령은 ‘북핵 동결→폐기’라는 2단계 해법론을 재차 강조하면서 “지금은 북한을 대화의 길로 이끌어내기 위해 제재와 압박 강도를 높이는 것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지난 7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인도·태평양 안보체제’에 대해서는 “우리로서는 처음 듣는 제안이었다. 공동번영을 위한 협력이라면 우리도 다른 의견이 있을 수가 없는데, 한·미동맹을 인도·태평양 협력의 축으로 말씀하셨기 때문에 그 취지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웠다”며 “그래서 우리의 입장표명은 유보하고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을 듣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자간담회 이후 이어진 필리핀 동포간담회를 끝으로 동남아 순방 일정을 마무리한 문 대통령은 15일 귀국할 예정이다.

마닐라=유태영 기자 anarchy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