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상반기 가계대출 증가액 절반 이상이 '40세 미만' 젊은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상반기 가계대출 증가액 절반 이상이 '40세 미만' 젊은층

올해 상반기 가계대출은 20∼30대 젊은층을 중심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엄용수(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제출한 '차주 연령별 및 신용등급별 가계대출 증감 현황'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1∼6월 '30대 이하'가 보유한 가계대출은 28조6천억원 늘었습니다.

한국은행이 약 100만명의 신용정보로 구성된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를 바탕으로 추정한 결과입니다.

이는 금융기관 자료를 집계하는 한국은행 가계신용 통계와 대출 규모, 편제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30대 이하(40세 미만)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전 연령층 증가액(46조8천억원)의 61.1%를 차지합니다.

가계대출의 젊은층 쏠림 현상은 올해 더 심해졌습니다.

작년에는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140조6천억원) 가운데 30대 이하는 51.8%(72조9천억원)를 기록했습니다.

기준금리가 1%대로 낮아진 상황에서 젊은층이 집을 장만하려고 돈을 많이 빌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국은행은 올해 6월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30∼40대 연령층에서 전·월세의 자가전환이 활발하고 이 과정에서 다른 연령에 비해 금융기관 차입이 많았다"고 분석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40대 연령층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15조8천억원입니다.

반면, 50대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6조4천억원으로 40대 증가액의 절반을 밑돌았습니다.

60대 이상은 오히려 4조원 줄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가계대출은 고신용자(신용등급 1∼3등급) 위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고신용자가 보유한 가계대출 증가액은 32조2천억원으로 전체 증가액의 67.9%를 기록했습니다.

또 중신용자(4∼6등급)는 19조1천억원 늘었습니다.

이와 달리 저신용자(7∼10등급)는 4조6천억원 감소했습니다.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들이 리스크(위험) 관리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고신용자 대출을 많이 취급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