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국감 핫이슈] "공군 조종사 조기 전역 대책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이왕근 공군참모총장이 20일 충남 계룡대 공군본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일 충남 계룡대 공군본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선 조종사 인력 유출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지난해 국감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6년 상반기까지 전역한 영관급(소령~대령) 조종사는 617명이었다. 이 가운데 71.6%(442명)은 스스로 공군에서 옷을 벗은 경우로 밝혀졌다. 대부분 돈을 많이 벌고, 가족들과 시간을 많이 보낼 수 있는 민간항공사 조종사로 전직했다고 한다.

김동철 국민의당 의원은 “국감마다 단골 메뉴가 숙련급 조종사 문제”라며 “전투기 조종사 의무 복무 기간이 15년인데 이거 늘려야 된다. 이와 함께 후생이나 복지 등 처우를 개선하고 가족과 보내는 시간을 파격적으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예산이 한정돼 공군 조종사 월급을 민간항공사만큼 올려줄 수는 없다”면서 “대안으로 조종사 정원을 확 늘리는 방법이 있다”고 제안했다.

같은 당의 김병기 의원은 “조종사 문제 못지않게 정비사 유출도 심각하다”면서 “그들이 조기에 전역하는 이유가 혹시 진급에 대한 적체 때문인지 전역 후 안정된 삶을 누리지 못할 것 같다는 불안 때문에서인지 살펴보기를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이왕근 공군참모총장은 “조종사 유출 문제를 분석해보니 경제적 이유도 있지만 자녀 교육이 가장 큰 문제”라면서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우겠다”고 답했다.

중앙일보

글로벌호크. [사진 미 공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공군은 업무보고에서 북한 핵심시설을 정밀 감시하는 공군 항공정보단을 12월 창설한다고 밝혔다. 항공정보단은 공군 전대급인 기존 정보부대를 전단급으로 확대 개편한 부대다. 내년부터 도입하는 고고도 정찰용 무인항공기(HUAV) 글로벌호크(RQ-4)와 국산 개발 중인 중고도 정찰용 무인한공기(MUAV) 등 무인기를 전력으로 둘 예정이다.

모두 4대를 미국에서 수입하는 글로벌호크는 최고 18㎞ 고도에서 34시간 이상 체공하며 지상 10만㎢ 면적을 정찰할 수 있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