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week&] 2·7일 장날엔 떠밀려 걸어야 하드래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곤드레·콧등치기국수·메밀전병 …

다른 데선 보기 힘든 것들 가득

신토불이증 목에 걸고 국산만 팔아

청량리~아우라지 기차 타는 맛도

시장에서 놀자 ② 정선아리랑시장
강원도 정선은 첩첩이 험한 산으로 둘러싸인 산골이다. 이런 풍경 때문에 사람들은 정선이 심심한 벽촌일 것이라 오해한다. 하지만 ‘정선아리랑시장’을 찾으면 정선에 대한 편견이 깨진다. 해마다 정선 인구(약 3만8000명)의 20배 가까운 한 해 65만~70만 명의 방문객이 밀려드는 저잣거리에는 활력이 가득하다. 이곳에서 한나절 보낼 수 있는 시장 놀이법을 소개한다.

인구 4만 명 마을에 방문객 연 65만~70만

중앙일보

한 해 65만~70만 명이 방문하는 정선아리랑시장. 오일장이 열리는 날 저잣거리는 더욱 북적인다. 정선 특산품인 산나물과 약초를 살 수 있고 강원도 향토음식을 맛보며 시장 놀이를 즐기기 좋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선아리랑시장은 조선시대부터 날짜 끝에 2·7이 들어가는 날에만 열리는 오일장이었다. 1966년 연중무휴 상설시장으로 바뀌었지만 오일장 전통이 남아 있어 복작복작한 시장 분위기를 제대로 느끼려면 장날에 맞춰 방문하는 게 좋다.

지난 10월 12일 추석 대목을 치른 후 첫 오일장이 열린 정선아리랑시장을 찾았다. 가을비 내리는 평일(목요일)이었지만 금요일 저녁 대형마트처럼 붐볐다.

“주말이 겹친 장날에는 뒷사람에게 떠밀려 걸어야 하드래요. 왜 이렇게 사람이 많냐는 불만도 나온다니까요.”

정선아리랑시장 상인회 이윤광(58) 회장의 엄살은 실은 자랑이었다. 재래시장이 외국인까지 찾아오는 명소가 된 것을 이 회장은 “정선다운 시장을 만든 흥행 전략”이었다고 말했다. 정선에서만 살 수 있는 물건, 정선에서만 맛볼 수 있는 먹거리가 가득한 시장을 추구했다는 얘기다.

실제로 매대는 정선 특산물인 산나물과 약초가 주를 이뤘다. 봄에 따 말려 놓은 곤드레, 삼계탕에 꼭 들어간다는 약초 황기, 가을 수확이 한창인 더덕이 가득했다.

현재 시장에는 175개 점포가 있는데 빈 점포 수는 ‘0’개다. 상설 점포뿐 아니라 장날이면 자신이 채취한 나물 등을 파는 노점이 들어선다. 정선아리랑시장에 새로 노점을 벌이려면 정선군민이 직접 농사지은 농산물이나 산에서 채취한 임산물만 팔아야 한다는 조건을 맞춰야 한다.

중앙일보

정선군이 국산품만 취급한다고 인증한 신토불이 상인. 정선아리랑시장에선 이 ‘신토불이증’을 목에 걸고 영업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장 상인 중 120명은 특별히 ‘신토불이증’을 목에 걸고 장사를 한다. 정선군에서 국산품만 판매하는 상인으로 인증한 사람들이다. 친절 교육까지 받아 무뚝뚝한 강원도 사람이라는 선입견마저 깨준다.

시식만으로는 헛헛해 먹거리를 찾아다녔다. 시장에는 음식점이 70곳 있는데 전국 어디서나 흔한 떡볶이나 김밥을 파는 곳은 단 한 군데도 없다. 주력 메뉴는 올챙이국수(옥수수묵국수)나 콧등치기국수(메밀국수) 등 재밌는 이름이 달린 강원도 향토음식이다. 정선황기막국수(곤드레밥 6000원)와 명선집(콧등치기국수 5000원), 회동집(메밀전병 5000원) 등은 시장 상인도 찾아가서 먹는다는 맛집이다.

정선아리랑시장에서 만난 정선군 가이드 권인숙(58)씨는 “정선아리랑시장도 원래 부산의 깡통시장처럼 온갖 생필품을 파는 시장으로 시작했다”고 했다.

“석탄산업 부흥기었던 70년대만 해도 정선 인구가 14만 명 정도 됐죠. 강아지도 1만원짜리를 물고 다닌다고 할 만큼 돈이 넘치는 고장이었어요. 정선아리랑시장은 산골짜기에 흩어져 살고 있던 사람들이 장날마다 만나는 만남의 광장이었고, 옷가지며 장신구까지 살 수 있는 쇼핑 특구였어요.”

선평역 깜짝장터에서 옥수수 막걸리 원샷

중앙일보

청량리역과 아우라지역을 잇는 정선아리랑열차. 수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왕복 1회 운행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선아리랑시장은 정선 경제를 떠받들던 석탄산업이 기울면서 위기를 맞았다. 인구 공동화 현상으로 애를 먹더니 2001년 정선선 철로의 기차 운행도 종료됐다.

정선군과 시장 상인회가 시장을 재생하자고 발 벗고 나선 때는 99년이었다. 외부 여행객을 끌어오기 위해 증산역(지금의 민둥산역)에서 정선역까지 이어지는 꼬마열차를 개설했다. 무궁화호 1량짜리 꼬마열차는 장날마다 증산역에서 정선역까지 부지런히 사람들을 태웠고, 철도 마니아와 여행객을 정선아리랑시장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했다.

장날마다 운행하던 꼬마열차를 전신으로 하는 게 2015년 개통한 ‘정선아리랑열차’다. 청량리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아우라지역까지 253.1㎞를 운행한다. 수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왕복 1회 운행하는데, 오일장이 열리는 날과 겹치는 월요일·화요일에는 특별 운행한다.

정선아리랑열차를 타고 정선아리랑시장으로 떠나는 여정은 그 자체를 여행으로 즐기기에 충분했다. 카페 칸에 앉아 커피를 마시며 커다란 창문으로 굽이굽이 이어지는 강원도의 산세를 구경했다.

중앙일보

정선아리랑열차


기차는 예미역에 들어서자 속도를 낮춰 민둥산역까지 저속 운행했다. 울긋불긋하게 물들기 시작하는 민둥산 절경이 펼쳐지자 열차에 타고 있던 사람들은 너도나도 휴대전화를 꺼내 사진 찍기에 바빴다.

◆여행 정보
정선아리랑시장은 연중무휴. 날짜 끝자리가 2·7로 끝나는 날엔 오일장이 열린다. 정선아리랑열차는 수~일요일, 정선아리랑 오일장날에 운행한다. 청량리역을 오전 8시20분 출발해서 정선역에는 낮 12시6분에 닿는다. 복편은 정선역에서 오후 5시37분 출발, 오후 9시33분 청량리역으로 돌아온다. 편도 2만7600원.



정선=글·사진 양보라 기자 bora@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