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5·18 암매장지 특정… 10월 내 발굴 착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교도소 제3 감시탑 인근/적어도 17구 매장 추정/23일쯤 구체 계획 발표

옛 광주교도소 내 5·18민주화운동 행방불명자들의 암매장 추정지가 특정되면서 이달 안에 발굴조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19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전날 현장조사에서 암매장 제보자가 가리킨 장소와 5·18 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된 3공수여단 부대원이 작성한 약도에 표시된 구역이 일치해 발굴 범위를 예상보다 빨리 특정했다.

세계일보

5·18기념재단이 제보자의 증언을 토대로 암매장 추정지로 지목한 옛 광주교도소 외곽지역. 5·18기념재단 제공


재단이 지목한 암매장 추정지는 옛 교도소 외곽으로, 북측 제3 감시탑 인근이다. 광주교도소 감시탑은 외정문 쪽에 세워진 제1 감시탑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숫자를 매겼다.

이곳은 1980년 당시에는 재소자들이 농장으로 일궜던 땅이다. 제보자는 이곳에서 암매장 작업을 목격했다고 재단 측에 증언했다. 출소를 10여일 앞둬 비교적 행동에 제약이 적었던 이 제보자는 “당시 계엄군이 해당 장소에서 굴착기 등 공사 장비를 이용해 땅을 파는 모습을 목격했다”고 증언했다.

이날 특정한 암매장 추정지는 그동안 재단이 발굴한 당시 3공수여단 부대원의 암매장 관련 메모·약도와도 일치한다. 옛 광주교도소는 5·18 당시 전남대에서 퇴각한 3공수여단 소속 계엄군 병력이 주둔했던 장소다.

암매장 추정지는 5·18 당시 광주교도소 담벼락 주변에 계엄군이 10m 간격으로 참호를 파고 경계근무를 섰던 곳이다. 사실상 광주교도소가 점령당한 상황에서 해당 지점은 계엄군 외에는 누구도 접근하기 어려웠다. 제3∼4 감시탑 주변 길은 평소에도 교도관들의 통행이 거의 없던 곳이었다.

5·18 당시 광주교도소에 재직했던 민경덕(69) 전 교도관은 “암매장 추정지 부근은 외진 곳으로 교도소 직원들이 거의 가지 않았고 야간 순찰 때만 한 번 지나가는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재단은 현장조사에 참여한 조현종 전 국립광주박물관장과 구체적인 발굴 계획을 마련해 오는 23일쯤 언론에 발표할 방침이다. 옛 교도소 시설물과 토지를 소유한 법무부가 적극적인 협력을 약속해 발굴작업은 이달 안에 착수할 예정이다. 군 자료를 보면 5·18 당시 광주교도소에서 시민 28명이 사망했지만 한 달 후 11구의 시신이 가매장 형태로 발굴돼 적어도 17구 정도가 암매장됐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광주=한현묵 기자 hanshi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