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황석영·김미화, 블랙리스트 진상 조사 신청 "노골적 관리·탄압 경험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사진=JTBC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황석영 작가와 김미화가 25일 ‘MB정부 블랙리스트’와 관련해 진상조사위에 조사를 신청했다

황석영 작가는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 KT빌딩에 마련된 진상조사위 사무실을 방문해 조사신청을 한 후 기자간담회에서 “20세기에는 야만적인 사건이 그래도 합법적인 제도 안에서 공산주의자로 몰고 그랬다. 21세기에 똑같은 일을 벌이면서 사실은 더 치졸하게 교묘한 방법으로 뒤에 숨어서 은밀한 방식으로 (피해자들을) 모해한 것”이라면서 “문화야만국의 치부를 드러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권이 바뀐 지금에 와서 이러쿵 저러쿵 하는 게 구차하고 치사한 생각이 들었지만 최근 속속 드러나는 예를 보면서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고 넘어갈 일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면서 공개적인 조사를 신청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황석영 작가는 MB정부 시절인 2010년 우연히 광화문 거리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출입을 하던 국정원 직원을 만났으며, 당시 국정원 직원이 “이제부터 정부 비판을 하면 개인적으로 큰 망신을 주거나 폭로하는 식으로 나가게 될 테니 자중하라”는 내용의 주의를 줬다고 증언했다.

또 2011년 희망버스 동참과 대선기간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 이후 SNS에 모함과 공격에 극에 달했으며 그 당시 인터넷에서 확산된 글의 내용은 “황석영이 쓴 광주항쟁 기록은 북한 책을 베낀 것”이라거나 “황석영이 제작한 ‘님을 위한 행진곡’은 김일성의 지령을 받아 공작금을 받고 영화와 함께 만든 것”이라는 등의 내용이었다고 전했다.

황석영 작가는 박근혜정부 때는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 이후 문화인들에 대한 관리와 억압이 노골화됐다고 말했다.

그는 "2014년부터 해마다 6월이면 국민은행 동대문지점에서 검찰 측의 '수사 목적'에 의한 요청으로 금융거래정보를 제공했다는 사실이 내게 통보됐다. 검찰은 어떤 수사 목적으로 몇 년에 걸쳐 금융거래 정보 제공을 요구했는지 그 이유를 밝혀 달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황석영 작가와 함께 조사신청을 한 김미화도 기자회견에서 지난 정부의 노골적인 문화예술인 탄압을 비판했다.

김미화는 이날 "검찰 조사 과정에서 보게 된 국정원 서류를 보면서 매우 불쾌하고 화가 났다"며 "서류를 보면 굉장히 많은 사안에 대해서 국정원장의 지시와 (청와대) 민정수석의 요청 사항들이 적혀 있다"고 설명했다.

전자신문인터넷 김수정 기자 (kimsj@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