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내친 김에 국민의당 협력 제도화?…여소야대 절감 與 고심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2', '3+3' 협치 기구에 정책 연합 목소리도

뉴스1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7.9.25/뉴스1 © News1 이동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수완 기자 = 김명수 대법원장 인준 과정에서 '여소야대 정국'을 실감한 더불어민주당이 향후 정책 추진 동력을 얻기 위해 국민의당과의 협치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민주당으로서는 김 대법원장 인준안을 상당한 표차로 통과시키는 성과를 거두기는 했지만 이 과정에서 '캐스팅 보트'를 쥐고 있는 국민의당의 힘을 새삼 절감한 상황이다.

특히 지난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인준안 부결 사태에서는 국민의당이 실질적으로 힘을 발휘했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이렇듯 여당 단독으로 국정을 운영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재확인한 민주당으로서는 향후 정기국회에서도 국민의당과의 관계 설정에 고심할 수밖에 없다.

당내에서는 여·야·정 협의체 외에도 원내 다른 협치 기구를 구성해 국민의당과의 접촉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병헌 청와대 정무수석도 지난 22일 민주당 지도부를 만난 자리에서 협치를 제도화해야 한다는 주문을 한 바 있다.

전 수석은 당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안보 대화를 하자고 하고 있고 여·야·정 국정 상설 협의체로 협치를 말하고 있다"며 "협치의 제도적인 기본 틀을 만들고 다양한 방법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당 지도부에) 말했다"고 밝혔다.

협치 기구 제도화의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두 당의 원내대표, 원내수석부대표 간의 회동인 '2+2 회동'과 여기에 정책위원회 의장까지 합해 '3+3 회동'을 해야 한다는 얘기 등이 나온다.

또 국민의당과의 '정책 연합'이나 '대연정'까지 고민해봐야 한다는 주장까지 당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민주당과 청와대는 이번 김 대법원장 인준에 앞서 선거구제 개편이나 개헌 문제와 관련해 국민의당 측과 상당한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청와대 측은 이와 관련해 "선거구제와 관련 '개편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 정도의 얘기만 있었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비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지도부는 연일 협치를 강조하는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지난 2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향후 정기국회 과정에서도 협치 정신을 되새기며 국민의 삶에 도움이 되는 성과를 나눌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말했다.

또 우원식 원내대표는 이 회의에서 "김 대법원장 인준안 가결에 이어 안보 분야에서도 상생, 협치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김 대법원장 인준 이후 잠시 협치 기류가 흐르는 것일 뿐 시간이 지나면 기존의 긴장 관계로 되돌아갈 것이라는 전망도 일부 나온다.

abilitykl@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