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21일 P2P 대출을 통해 부동산PF 대출상품에 투자시 최근 부동산 대책 등으로 부동산 시장 전망이 불확실해진 상황에서 복잡한 사업구조, 다수의 이해관계자, 영세한 사업체 등 전반적으로 리스크가 높기 때문에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당부했다.
전체 P2P 대출시장 규모는 약 1조7000억원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지난달 말 기준 P2P금융협회에 가입된 54개 P2P업체의 P2P 누적 대출액은 약 1조3300억원 수준이다. P2P대출시장은 매달 10%씩 급성장하고 있는데 부동산PF 대출이 약 3분의 1(4470억원)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 PF 비중이 50% 이상인 14개 업체의 평균 부실률은 1.69%로 다른 업체 평균 부실률 0.46% 대비 3배 이상 높다.
하주식 금융위 서민금융과장은 "부동산PF 대출상품이 제공하는 15∼20%의 높은 수익률은 그에 상응하는 높은 리스크를 수반한다"면서 "저축은행은 빌라나 오피스텔 PF대출에 통상 8∼12%의 금리를 책정하기 때문에 15∼20% 수익률의 PF 상품은 저축은행에서 자금조달이 어려운 상대적으로 고위험사업일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금융위는 "부동산PF 대출상품 투자 시 채무상환에 책임을 지는 차주가 누구인지 확인하고 차주의 자기자본 투입여부·비율과 출처를 확인해야 한다"면서 "사업에 차주의 자기자본이 투입되면 사업의 책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분양가 하락 시 대출금 보전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토지 잔금이나 공사비, 홍보비 등 대출목적이 명확하고 자금이 제대로 집행되는지 대출자금 관리 체계를 확인하고, 상환계획의 타당성도 점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hjkim@fnnews.com 김홍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