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6 (목)

이용자 취향 맞춰 콘텐츠 추천… AI 활용한 큐레이션 서비스 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네이버 ‘디스코’, 카카오 ‘레이지’ 등… 관심정보 알기쉽게 정리-선별해줘

“소비방식 변화” vs “편견 강화” 명암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달리기할 때 듣기 좋은 음악 틀어줘.”

마을 공터 트랙에서 달리기를 즐기는 서울 도봉구의 허지현 씨(37)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음원 애플리케이션(앱)을 쓰면서 음악을 더욱 즐기게 됐다. 이 앱은 말로 명령하면 저절로 알아듣고 적당한 음악을 선곡해준다.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허 씨가 들었던 음악이나 허 씨와 비슷한 취향을 지닌 사람이 들었던 음악을 틀어주는 방식이다. 그는 “처음 듣는 음악이라도 취향에 맞아 대부분 계속 듣게 된다”고 말했다.

그동안 소수의 AI 비서 스피커 시스템 등에만 활용되던 개인 맞춤형 ‘큐레이션’ 기능이 다양한 서비스에 접목되고 있다. 큐레이션이란 미술관의 큐레이터처럼 유용한 정보들을 모아 알기 쉽게 정리하고 선별해주는 서비스다. 온라인 콘텐츠 분야에선 주로 개인의 이용패턴에 맞춰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용자 콘텐츠 활용 패턴이 빅데이터로 저장되고 이를 분석해주는 AI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를 활용하는 서비스 영역이 넓어진 것이다. 인터넷 포털이나 영화, 음악 등을 서비스하는 콘텐츠 업체가 주로 활용한다. 최근에는 온라인 쇼핑몰도 추천 기능을 강화하는 추세를 보인다.

최근 포털업계가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바탕으로 큐레이션 서비스를 공격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올 6월 네이버가 출시한 ‘디스코’가 대표적이다. 이는 이용자가 미리 지정한 주제의 콘텐츠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콘텐츠 큐레이션 플랫폼이다. 네이버의 AI 플랫폼인 ‘클로바’의 추천 엔진을 탑재했다. 클로바가 이용자의 취향을 학습해 이용자가 관심이 있을 만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추천해준다.

디스코 이용자는 자신의 관심 주제를 설정하고 해당 주제의 콘텐츠에 피드백을 주면서 개인의 취향을 전달한다. 네이버 관계자는 “출시 초반에는 1000명 수준이었지만 두 달 동안 빠른 성장세를 보여 하루 이용자가 2만여 명에 이른다”며 “지인 관계 중심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피로도를 느낀 이용자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카카오도 AI를 통해 뉴스와 주변 맛집 등을 추천해주는 앱(현재 iOS앱 출시)인 ‘레이지’를 7월 선보였다. 시간과 공간으로 콘텐츠를 분류하고, 인기를 끄는 커뮤니티 글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위치기반 정보를 통해 주변 행사 등을 추천받을 수 있다.

카카오의 AI 추천 시스템 ‘토로스’는 카카오페이지 등 유료 콘텐츠 서비스에 적용된 기술이다. 이용자가 카카오페이지를 통해 읽은 작품을 분석해 이용자가 좋아할 만한 콘텐츠를 알림으로 추천해준다.

멜론이나 지니뮤직, NHN벅스와 네이버뮤직 등 국내 주요 음원 콘텐츠들도 각사의 음원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정보의 홍수 시대에 검색에서 큐레이션으로 콘텐츠 소비 방식이 옮겨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평소의 고정관념과 편견이 더 강화되는 이른바 필터버블(Filter Bubble) 현상이 강화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임현석 기자 lhs@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