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ET투자뉴스]테라세미콘_외국인투자자의 거래참여 활발, 거래비중 15.8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위험대비수익률 1.8, 업종평균대비 성과 좋지 않아

19일 오후 1시55분 현재 전일대비 5.68% 하락하면서 32,400원을 기록하고 있는 테라세미콘은 지난 1개월간 4.85% 상승했다. 같은 기간동안 변동성의 크기를 말해주는 표준편차는 2.6%를 기록했다. 이는 반도체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테라세미콘의 월간 주가수익률은 적정한 수준에 있었지만 변동성은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는 뜻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테라세미콘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1.8을 기록했는데, 변동성은 가장 높았으나 위험대비 수익률은 그렇게 높지 않다. 다만 반도체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3.4보다는 낮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는 긍정적으로 보기 어렵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테라세미콘이 속해 있는 반도체업종은 코스닥지수보다 변동성은 높고, 수익률은 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동업종은 지수보다 크게 오르락 내리락 했지만, 상승률은 오히려 지수보다 못하다는 의미이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표준편차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테라세미콘 2.6% 4.9% 1.8
유진테크 2.4% 21.7% 9.0
ISC 1.9% 13.7% 7.2
원익머트리얼즈 1.9% -7.0% -3.6
SFA반도체 1.7% 1.6% 0.9
코스닥 0.6% 5.0% 8.3
반도체 1.0% 3.4% 3.4


관련종목들도 일제히 하락, 반도체업종 -1.98%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도 일제히 하락하면서 반도체업종은 1.98% 하락하고 있다.
유진테크

21,050원

▼450(-2.09%)
SFA반도체

2,575원

▼30(-1.15%)
원익머트리얼즈

78,800원

▼1100(-1.38%)
ISC

26,600원

▼650(-2.39%)


[재무분석 특징]
영업이익률 현재 15.05%로 업종평균 상회. PER은 19.44로 업종평균보다 높으며, PBR은 2.6임.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테라세미콘이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은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테라세미콘 원익머트리얼즈 유진테크 SFA반도체 ISC
ROE 13.4 6.8 13.4 2.9 5.2
PER 19.4 31.8 16.5 46.1 41.6
PBR 2.6 2.2 2.2 1.3 2.2
기준년월 2017년6월 2017년6월 2017년6월 2017년6월 2017년6월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전자신문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1.95%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테라세미콘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1.95%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3.17%를 나타내고 있다.

외국인투자자의 거래참여 활발, 거래비중 15.81%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72.27%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외국인이 15.81%를 보였으며 기관은 11.91%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76.12%로 가장 높았고, 기관이 12.05%로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은 11.82%를 나타냈다.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전자신문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주가와 거래량은 보통, 투자심리는 강세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특정 방향으로의 추세는 확인되지 않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적정한 수준에서 특별한 변화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주가흐름처럼 투자심리도 개선되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5일 이동평균선이 60일 저항선을 뚫으며 강하게 상승하고 있다.


현재주가 근처인 31,350원대에 주요매물대가 존재.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대 근방에 31,35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31,350원대는 전체 거래의 23.2%선으로 매매가 이가격대에서 비교적 크게 발생한 구간이라서 향후 주가가 조정받을때 수급적인 강력한 지지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33,15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가 방향을 잡으면 어느쪽으로도 지지 또는 저항매물대로 힘을 발휘할 수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상승을 전개하면서 제2매물대 저항구간인 33,150원대에 점차 가까워지고 있기 때문에, 추가상승시에는 동가격대에서의 저항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제2매물가격대에 주가가 지금 가깝게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33,150원대의 저항여부를 우선해서 세밀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현재위치에서 매물부담을 고려해보면, 33,150원대의 저항가능성과 31,350원대의 지지가능성을 중심으로 보는 것이 필요하다.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