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사설] 끝내 중국에서 쫓겨나는 롯데 어디가서 하소연해야 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롯데마트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중국의 온갖 보복조치에 시달리다 결국 중국 매장 112개를 처분하고 철수하기로 했다. 세계적인 유통회사들이 격전을 펼치는 이 시장에서 롯데마트가 그동안에도 고전한 것은 사실이지만 철수에 이른 결정타는 뭐니 뭐니 해도 중국의 사드 보복 탓이다.

롯데스카이힐 성주 골프장이 사드를 배치할 용지로 지정된 후 중국은 노골적으로 롯데를 표적 삼아 탄압했다. 롯데마트는 지난해 11월부터 소방점검, 세무조사 등 각양각색의 단속에 시달렸고 급기야 올해 3월부터는 매장 영업을 정지당하기 시작됐다. 그 결과 중국 내 매장 77%인 87개가 영업을 중단한 상황이다. 중국 롯데마트 2분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에 불과할 정도이니 나머지 매장들도 사정이 비슷하기는 마찬가지다. 이 와중에도 롯데마트는 인건비나 관리비 등으로 7000억원을 쏟아부으며 중국 사업을 유지하려 애썼으나 결국 중국의 치졸한 보복을 이겨내지 못했다. 어디 롯데마트뿐인가. 이마트도 최근 중국사업 철수를 선언했고 자동차·화장품 등 대다수 우리 제품들이 중국시장에서 곤경에 처해 있다.

우리 정부의 대응은 답답하다 못해 한숨이 나올 지경이다. "북한 핵·미사일 도발에 대응하려면 중국과의 협력이 중요하다"며 중국의 부당한 경제 보복 조치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는 것조차 미적거리고 있다. 정부 정책에 협조했던 롯데는 막대한 손실을 감수하면서도 어디 하소연도 못하고 있다. 이러고서도 기업들에 정책협조를 계속 요구할 것인지 정부에 묻고 싶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