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한·중·일 시인 “동아시아 긴장, 詩의 힘으로 풀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벨 문학상 후보 거론 왕자신 등 中18명·日20명 포함 140명 참여
낭송회·콘서트 열어 평화 염원…동계올림픽 성공개최도 기원
서울신문

13일 서울 중구의 한 식당에서 열린 ‘2017 한·중·일 시인축제’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시인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곽효환, 오세영, 최동호, 왕자신, 이근배, 이채민 시인.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인은 국가나 집단이 아닌 자기 자신만을 대표하기 때문에 교류와 대화에 적합합니다. 동아시아의 평화로운 시대를 희망하는 마음을 한국, 일본 시인과 함께하고 싶습니다. 다들 긴장하는 분위기이지만 평화의 힘을 믿고 사랑과 시의 힘을 믿기 때문이죠.”

중국 10대 시인이자 노벨문학상 후보로 꼽히는 중국 대표 시인 왕자신의 말이다. 중국 인민대 문학원 교수이기도 한 그는 13일 열린 간담회에서 “평화, 환경, 치유는 중국 시인들도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라며 14~17일 강원 평창에서 열리는 ‘한·중·일 시인축제’에 참여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행사를 주관하는 최동호 한국시인협회장은 “한국시인협회가 60돌을 맞는 올해 한·중·일 대표 시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교류의 장을 열게 돼 기쁘다”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제) 배치 등 민감한 이슈로 동아시아 역내 긴장감이 고조된 상황에서 이번 시인축제가 국가 간의 관계를 개선하는 자리가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시인축제에서 한·중·일 대표 시인 140여명은 강연, 포럼, 친교의 밤 등 시를 매개로 소통하며 시대의 평화와 치유를 희구한다. 국내에서는 김남조, 김후란, 황동규, 이근배, 오세영, 신달라, 오탁번, 이건청 등 100여명의 시인이 참여한다. 중국 시인은 왕자신, 수팅, 뤼진, 탕샤오두 등 18명, 일본 시인은 이시카와 이쓰코, 호리우치 쓰네요시, 아소 나오코, 모치즈키 소노미 등 20명이 함께 자리한다.

이번 축제는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을 기원하는 문화올림픽의 차원으로 열리는 행사이기도 하다. 시와 스포츠는 언뜻 서로 교집합이 없어 보이는 분야다. 이에 대해 오세영 시인은 “두 분야 모두 그 자체에 목적을 둔 유희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기본 바탕은 같다”고 강조했다.

“시와 스포츠의 밑에 깔린 인간의 기본적 욕망과 꿈은 같습니다. 두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에서도 어원이 같고요. 시는 올림픽이 추구하는 이념과도 맞닿아 있는 예술행위이기도 합니다.”

축제 첫날인 14일에는 개막식을 시작으로 기조 강연, 시낭송 콘서트가 열린다. 둘째 날인 15일에는 ‘평화, 환경, 치유’를 주제로 학술세미나, 평창·속초·강릉·정선 등 강원도 4곳에서 지역 시낭송회가 연이어 진행된다. 이날 저녁 알펜시아 콘서트홀에서는 한·중·일 시인의 시낭송회, 시로 만든 가요 등 음악 공연이 어우러지는 ‘시가 흐르는 아리랑 콘서트’가 열린다. 16일에는 포럼과 한·중·일 시인의 날 선포식, 임진각 DMZ생태관광지원센터에서의 평화의 시낭송 행사가 이어진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