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밀착카메라] 도로표지판까지 덮어…곳곳 '칡덩굴 피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13일) 밀착카메라는 천덕꾸러기가 된 칡나무를 담아왔습니다. 오래 전부터 구황작물과 약재로 쓰였지만 너무 많아진 게 문제입니다. 제거를 하고는 있지만 역부족입니다.

밀착카메라 구혜진 기자입니다.



[기자]

전남의 한 야산입니다.

작업자들이 무언가를 자르고 파내는 데 한창입니다.

갓 캐낸 칡입니다.

겨울에도 뿌리가 죽지가 않아서 보릿고개에 유용한 구황작물로 쓰였고요. 요즘에는 몸에 좋다고 해서 약재로 쓰이기도 하는데요. 바로 이 칡이 요즘 천덕꾸러기가 되고 있다고 합니다.

산비탈 전체가 칡덩굴로 포장된 듯 점령당했고 가로변의 나무들은 무슨 나무인지 알아볼 수 없을 정도입니다.

칡덩굴에 갇힌 나무들은 햇빛을 받지 못해 광합성이 불가능합니다.

칡덩굴이 소나무 위를 완전히 뒤덮고 있어 이 아래쪽에는 햇볕이 전혀 들지 않고요. 그래서인지 이 소나무 아래쪽이 솔방울만 남긴 채 완전히 죽어있습니다.

도로변까지 내려온 덩굴은 교통 표지판도 뒤덮었습니다.

여기를 보면 칡덩굴에 둘러싸여 표지판인지도 잘 알 수 없지만 이렇게 헤쳐보면 금방 좌회전 급커브가 나타난다는 표지를 보실 수 있고요.

조금만 더 따라와 보시면요. 네 이쪽에 낙석을 주의해야 한다는 표지판도 칡덩굴에 가려 잘 보이지 않습니다.

표지판을 보지 못한 운전자들은 당황하기 일쑤입니다.

[운전자 : 나무가 많다 보니까 이정표가 잘 안 보이더라고요. 그래서 잘못 보고 넘어온 거예요, 이쪽으로. 지금 뭐에 홀린 것 같아요.]

덩굴류가 분포한 산림은 2012년 1만1300여 헥타르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2만1000헥타르로 5년 만에 배 가까이로 늘었습니다.

몇 년간 이어진 폭염으로 칡이 좋아하는 고온다습한 기후가 갖춰지면서 번식력이 왕성해졌기 때문입니다.

예전만 못한 칡의 인기도 덩굴류 확장에 한몫합니다.

[인근 주민 : 옛날같이 없이 살고 (배를) 곯던 시대에는 이런 게 없었어. 다 베다가

짐승 주고 그랬지. 지금은 이렇게 살기가 좋다 보니까… ]

산림청도 칡 제거 작업을 집중적으로 펼치고 있지만 번식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덩굴식물인 칡은 씨앗뿐 아니라 줄기와 뿌리로도 번식하는 데다 완전 제거도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칡뿌리 일부가 이렇게 드러나 있는데요.

어디까지 이어져 있는지 알 수가 없어서 낫으로 이 중간을 잘라내는 수밖에 없고요.

이 쪽을 보시면 칡뿌리를 아무리 잡아당겨도 뽑히지가 않습니다.

[작업자 : 있는 힘을 다해서 당겨도 안 내려오지. 한두 개가 아니야 칡이. 뿌리를 캔다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죠. (뿌리가) 엄청나게 뻗어버려.]

그렇다고 독성이 강한 약제를 쓸 수도 없습니다.

약제가 주입된 칡뿌리를 사람이 섭취할 수 있고 비가 내릴 경우 농작물에도 피해가 우려됩니다.

[이미선/곡성군청 산림과 : 이제 뿌리가 계속 뻗어 나가면서 어디로 갈지 모르는데, 주입된 약재들이 2차적인 피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지난해 전국의 칡 제거 사업에 쓰인 예산은 230억 원이 넘었습니다.

인부 8명이 하루종일 작업했는데도 가로변 100m 정도의 칡덩굴을 제거하는데 그쳤습니다.

그나마도 칡뿌리는 다시 자라나 나무를 뒤덮을 텐데요.

생태계를 보전하면서도 칡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구혜진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