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9 (일)

부산·울산·경북, 원전해체연구소 유치전 ‘후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월19일 고리 1호기 폐로행사에서 ‘동남권’에 원전기술해체연구소(해체연구소)를 건립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이후 부산(기장군)·울산(울주군)·경북(경주시) 등 원전을 보유한 영남권 이웃 지자체 간 유치경쟁이 치열하다.

해체연구소는 노후원전의 해체 기술 확보 및 인력 양성 문제를 다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연말까지 해체연구소 건립 로드맵을 마련하기로 했다. 아직 구체적인 사업계획이 확정되지 않았는데도 지자체들은 서로 해체연구소 설립의 최적지임을 내세우며 활발한 물밑작업을 하고 있다.

유치경쟁이 갈수록 달아오르는 것은 향후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이 잇따르는 데다, 원전해체 시장 특성상 실적이 검증된 기업 위주로 형성될 가능성이 크고 해체연구소 유치에서 밀릴 경우 해체시장 재진입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지자체들은 해체연구소가 각 지역의 새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부산은 국내 첫 해체대상 원전(고리 1호기) 소재지인 데다 국내 최초의 원자력산업단지 조성, 원자력 부품·설비 인증센터 설립 등 유리한 해체연구소 입주조건을 갖춰, 센터 설립의 최적지임을 내세우고 있다.

부산시는 이에 따라 기장군 고리원전 인근에 지상 1층, 연면적 1만200㎡ 규모로 해체기술 실증·인력교육 등의 기능을 가진 해체연구소 건립안을 마련했다.

부산시 에너지산업과 김신욱 주무관은 “고리 1호기 인근 주민들이 국내에서 가장 오랫동안 원전운영에 따른 불편을 감수한 것이 해체연구소 입지 결정에 반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울산은 신고리원전 소재지이고, 원전 반경 30㎞ 이내에 전체 울산시민(120만여명) 94%가 살고 있는 데도 경북·부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전 관련 혜택이 없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울산시는 신고리원전 인근 울주군 서생면에 조성 중인 에너지융합산업단지(102만㎡) 내 3만3000㎡의 해체연구소 건립안을 마련했다.

울산시 에너지산업과 박노헌 사무관은 “현대중공업을 비롯해 설비해체·핵종분석·방사선 측정 등 해체기술 실증화가 가능한 산업인프라가 충분하다”고 말했다.

경북은 국내 원전 25기 중 절반가량(12기)이 가동되는 등 최다 원전 보유지역임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들 원전 중 향후 10년 이내에 월성 1~3호기와 한울 1호기 등 4기의 설계수명이 만료된다. 경북도는 월성원전 인근 경주시 감포읍에 330만여㎡ 규모로 조성될 원자력연구단지에 해체연구소가 선도사업으로 입주토록 할 것을 검토 중이다.

경북도 원자력산업정책과 손율락 주무관은 “문 대통령이 대선 기간에 원전연구단지를 경주에 조성키로 공약한 데다, 해체연구소를 운영할 한국수력원자력 본사와 방폐장이 경주에 있는 것이 강점”이라고 말했다.

<백승목 기자 smbaek@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