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30 (월)

韓銀 "경기회복-임금상승세 확대 등 선순환 고리 약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경기 및 고용여건 개선세에도 불구 임금상승세는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글로벌 경기가 꾸준히 나아질 경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상승할 것으로 보이나 노동생산성 저하 등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임금상승은 상당기간 제약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됐다.

10일 한국은행 조사국 국제경제부가 발표한 '해외경제 포커스'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실업률은 지난 2011년에서 2013년 중 7.9%에서 지난해 6.3%로 빠르게 하락했다. 다만 명목임금 상승률은 지난 금융위기 직후부터 큰 변동 없이 2% 내외 수준을 유지했다.

부진 원인으론 노동생산성, 기대인플레이션 등 임금결정요인, 과거 임금의 하방경직성 등은 물론 인구구조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된 결과로 분석됐다.

실제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노동생산성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기업의 임금상승 여력은 제약됐다. 지난해 4분기 기준 미국의 노동생산성은 금융위기 이전 추세가 지속되는 상황의 90%, 유로지역 및 일본의 경우 각각 92% 수준을 기록했다. 노동생산성 부진은 투자 위축에 따른 자본심화도 약화, 글로벌 교역 둔화 등에 주로 기인했다.

메트로신문사

주요국 노동생산성./한은


또한 글로벌 저물가 지속으로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낮아진 가운데 인플레이션 기대가 임금인상 압력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이 약화됐다. 통상 인플레이션 기대는 임금 상승, 소비 증가, 물가 상승 등으로 이뤄진다. 미국 및 유로지역의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 2014년 이후 큰 폭으로 하락하며 2016년 물가목표인 2% 수준을 밑돌았다.

아울러 명목임금의 하방경직성으로 금융위기 직후 충분한 임금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도 최근의 임금상승 속도를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국의 경우 지난 2008~2010년 중 실업률이 급등한 가운데 명목임금 상승률 둔화폭은 다른 불황기와 비슷했다. 금융위기 이전기간인 지난 1990~2007년 대상 회귀모형을 이용해 시뮬레이션한 결과 위기 기준 중 실제 둔화폭은 모형 추정치를 상당폭 하회했다.

최기산 미국유럽경제팀 과장은 "그간 경기회복에 따른 임금상승세 확대는 가계의 소득 및 소비여건 개선을 통해 경기회복을 강화시키는 주요 동인으로 작용해 왔지만 이러한 선순환 과정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며 "향후 각국 정부는 고령층 취업 및 연금정책 강화 등으로 가계의 소득기반을 확충하는 한편 구조조정, 기술혁신 등으로 노동생산성을 제고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봉준 기자 bj35sea@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