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야당] 이회창 회고록 발간…보수 진영에 '따끔한 일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오늘(22일) 회고록을 발간했습니다. 1000쪽에 달하는 분량인데, 자기 혁신이 부족한 보수 진영에 대한 따끔한 일침이 담겼다고 합니다. 오늘 야당 발제에서 관련 소식을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기자]

[이장우/자유한국당 의원 (어제) : 논문 표절이라는 그동안 살아온 결과가 결국 장관으로 부적절하기 때문에 저는 교육부 장관으로 인정할 수 없습니다.]

[이은재/자유한국당 의원 (어제) : 논두렁이 아니라 다른 데 버렸다면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선물로 받았다고 진술한 1억 원짜리 피아제, 명품시계가 2개에서 1개로 줄어듭니까? 아니면 명품이 아니라 단돈 만 원짜리 시계로 바뀌는 겁니까?]

네, '결산 국회'를 맞이한 자유한국당. 각 상임위마다 그야말로 날아다닙니다. 결산 심사는 뒤로 하고, 정부 비판에 열심인 모습이죠. 오늘 열린 국회 운영위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민경욱/자유한국당 의원 : 여론조사에 편향된 조사 결과만 믿고 포퓰리즘 정책을 지금 정부가 남발하고 있다…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임종석/대통령 비서실장 : 네, 의원님. 뭐 저희도 여론조사 단순 수치를 보고 정치를 하는 것은 아니고요.]

자, 이렇게 싸움 본능을 제대로 발산하고 있는 자유한국당. 제1야당의 존재감은 드러내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정작 내부 혁신은 하지 않고 외부 비판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는 게 사실이죠.

마침 오늘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회고록을 펴냈는데, 1000페이지 분량의 대작입니다. 이 책을 보면, 지금의 자유한국당을 향한 쓴소리가 가득합니다. 주요 대목부터 보시죠.

[음성 대역 : 이번 탄핵 사태의 주된 책임자는 누구인가? 바로 탄핵을 당한 박근혜 전 대통령이다. 그 다음의 책임자는 새누리당이다.]

자, 이 전 총재가 정조준한 건 역시 박근혜 전 대통령이었습니다. 이 전 총재는 박 전 대통령이 보수 세력을 망친 주범이라는 인식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도 비슷한 지적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이회창/전 한나라당 총재 (4월 7일) : 지금 우리가 이렇게 이번에 이렇게 보수가 힘들고 망가지고 어렵게 된 게 이게 누구 탓이냐, 결국엔 한 사람 탓이에요. 박근혜 전 대통령 탓 아닙니까?]

이 전 총재가 이렇게 강하게 비판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박 전 대통령을 정치에 입문시킨 당사자가 바로 본인이었기 때문이죠.

[음성대역 : 박근혜씨는 부모님이 모두 비명에 가신 참담한 일을 겪었는데도 어두운 이미지는 전혀 없었다. 한나라당의 외연을 넓히는 데 좋은 자산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자, 이 전 총재가 누구입니까. 원조 보수 정치인입니다. YS 정부 때 정치에 입문했고, 1997년, 2002년, 그리고 2007년. 이렇게 세 번이나 대선에 도전했죠. 특히 2007년 대선 땐 무소속으로 출마해서, 1500원짜리 국수를 먹으면서 분투를 펼치기도 했습니다. 기존의 귀족 이미지와는 많이 다른 모습이었죠.

[이회창/전 한나라당 총재 (2007년 11월 15일) : (얼마짜리예요?) (1500원.) (1500원이요?) (오늘 의원님 계시니까 3000원.) 오늘 가만히 있어야겠네.]

결국 세 번 다 실패하기는 했지만, 이 전 총재는 거대 야당을 이끄는 총재로 막강한 권력을 휘둘러왔죠. 2012년엔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는 연설도 했었는데, 탄핵 사태 앞에선 이런 절망감을 토로하기도 했습니다.

[음성대역 : 그가 대통령이 된 후 국정운영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곧 실망을 하게 되었고 기대도 접었다. 탄핵 사태로까지 진전되는 상황을 보면서 나는 그의 실질에 대해 너무도 모르고 있었다는 것을 실감했다.]

이 전 총재는 박 전 대통령이 망가뜨린 보수에 대한 걱정으로 밤잠을 설쳤다고 전해집니다. 그래서 그동안 망설였던 회고록을 약 3년에 걸쳐 완성했다고 합니다.

[이회창/전 한나라당 총재 : 야당의 역사는 야사로도 별로 남아있지 않고 완전히 죽여버리지지 않았나. 그래서 저는 같이 고생했던 동지들, 우리 야당의 역사를 좀 남길 필요가 있겠다.]

결국, 회고록은 이 전 총재가 말한 보수의 동지들에 대한 당부로 마무리가 됩니다.

[음석대역 : 보수는 끊임없이 스스로 혁신해야 한다. 개혁을 위해 고루한 기득권 의식이나 틀에 박힌 사고에서 과감히 벗어나야 한다.]

자유한국당은 지금 혁신 작업이 한창입니다. 홍준표 대표는 박 전 대통령 출당을 통해서 보수 통합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애를 쓰고 있죠. 이 전 총재도 "부정적인 측면을 털어내야 한다"며 이른바 '친박 청산' 작업에 손을 들어줬습니다.

[이회창/전 한나라당 총재 : 결국은 이제 앞으로 큰 선거가 가까워올수록 보수는 보수대로 합치는 문제를 진지하게 생각할 때가 올 겁니다. 합칠 때 스스로가 부정적인 측면, 국민에게 신뢰를 잃은 부분을 과감히 털어내면서 합치고…]

자, 오늘은 회한이 담긴 회고록을 펴낸 이 전 총재에게 띄우는 음악입니다.

정치가 음악을 만났을 때.

시들어가는 나의 얼굴에는 수많은 추억이 녹아있고

바래져 가는 사진 속에 나를 오늘도 하루 종일 바라보네

네, 몽니의 '노인'입니다. 올해 여든 두 살. '노 정치인' 이회창 전 총재에 대한 정치적인 평가는 엇갈릴 수 있습니다. 오늘 나온 회고록에 대해서도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다만, 적어도 보수 진영에선 이 대목 만큼은 새겨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보수는 스스로 반성하고 부정적 이미지를 바꿔나가야 한다." 대선에 세 번이나 실패했던, 원조 보수 정치인의 따끔한 일침입니다.

오늘 야당 기사 제목은 < 이회창 회고록 발간…보수 진영에 일침 >입니다.

JTBC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