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수치 결정하는 요인 많아
다른 진단검사보다 특이도 뚝↓
면역력 대변 지표로 볼 수 없어
NK세포 활성도 검사는 암·바이러스 등에 감염된 비정상 세포를 스스로 인지해 파괴하는 면역세포인 NK세포의 기능에 주목한다. NK세포가 얼마나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병에 걸리면 NK세포의 활성도가 떨어지는 것에 착안해 개발됐다. 연세암병원 암예방센터 박지수 교수는 “암에 걸렸거나 스트레스·피로가 심할 때 NK세포의 활성도가 낮다는 연구결과가 많다”고 말했다.
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음주·과로 땐 NK세포 활성도 떨어져
최근 새로운 검사법 개발이 전환점이 됐다. NK세포가 활성화됐을 때 나오는 물질인 인터페론 감마(INF-r)의 양을 분석한 것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환자는 일반 혈액검사처럼 채혈만 하면 된다. 이후 검사 인력이 전처리 과정을 거쳐 인터페론 감마의 양을 측정한다. 인터페론 감마의 양이 많을수록 NK세포 활성도가 높다.
검사 결과는 ▶정상(500pg/mL 이상) ▶정상 경계치(500~250pg/mL) ▶주의(250~100pg/mL) ▶이상(100pg/mL 미만) 4단계로 구분된다. 정상이나 정상 경계치는 NK세포의 활성도가 건강한 사람과 비슷한 상태다. 주의·이상 단계는 NK세포 활성도가 일반인 평균보다 현저히 낮아 관련 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NK세포 활성도 검사 키트를 개발한 에이티젠 학술기획팀 김연진 연구원은 “주의 단계 이하라면 정상보다 신체 면역반응이 떨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러면 NK세포 활성도 검사는 신체 면역력을 온전히 평가할 수 있을까. 전문가들은 세 가지 이유에서 다소 회의적이다.
첫째, 면역력을 대변하는 지표로서 대표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인체 면역체계에서 NK세포 비중은 10%가량이다. 나머지는 암·바이러스를 직접 공격하는 T세포, 세균·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맞춤형 항체를 대량 생산하는 B세포 등 다른 면역세포가 차지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이대호 교수는 “NK세포 활성도라는 하나의 지표만으로 개인의 면역력을 평가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둘째, 검사 수치가 신체 면역력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일시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이다. NK세포 활성도는 과로·스트레스뿐 아니라 알코올·약(소염진통제·위산억제제 등)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술이나 약을 먹었을 때 수치가 떨어진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검사의 일관성을 위해 검사 전 유의사항이 마련돼 있는 것도 아니다. 아주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임영애 교수는 “NK세포 활성도 결과가 정상치보다 낮게 나왔다고 해서 무조건 면역력이 떨어졌다고 판단할 수 없다”고 말했다.
셋째, 검사 결과의 신뢰도가 낮다는 점이다. 검진 결과를 신뢰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건강한 사람을 건강하다고 판단하는 정확도인 ‘특이도’와 병이 있는 사람을 얼마나 잘 찾아내는지를 의미하는 ‘민감도’다. 만일 특이도가 떨어진다면 건강한 사람인 데도 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민감도가 떨어지면 병이 있는 사람을 발견하지 못한다. 결국 하나마나 한 검사가 될 수 있다. 민감도·특이도의 적합한 수준은 질환의 발생률, 유병률, 진단 기준에 따라 다르다. 대개 특이도는 90% 이상, 민감도는 60~70%면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본다.
그런데 NK세포 활성도 검사는 특이도가 다른 진단 검사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국립암센터 생체표지연구과 유병철 박사는 “검사의 특이도가 떨어지면 실제로는 건강한데도 첫 번째 검사에서 이를 가려내지 못해 추가·정밀 검사로 확인해야 한다”며 “불필요한 검사를 중복해 받아야 해 시간적·경제적 손실이 크다”고 말했다.
불필요한 추가·정밀 검사 받을 수도
그렇다고 NK세포 활성도 검사의 의미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현재 보조적이지만 암 환자의 치료 경과를 관찰하는 데 사용된다. 박지수 교수는 “NK세포 활성도가 높으면 암 환자의 생존율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며 “보건복지부에서도 위암·유방암·전립샘암·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NK세포 활성도를 측정해 경과를 관찰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인정했다”고 말했다. 향후 면역항암제 개발에 기여할 가능성도 일부 존재한다. 서울대 약대 강창율 교수는 “건강한 NK세포를 투입하거나, 기능이 떨어진 NK세포를 재활성화시켜 암을 치료하는 연구를 현재 진행 중”이라며 “NK세포 면역항암제가 나온다면 NK세포 활성도를 점검하는 검사가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권선미 기자 kwon.sunmi@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