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살충제 계란]식약처, 살충제 계란 농장 59%에 '안전인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살충제 계란 농장 59% '식품안전관리 인증기준' 획득

인증 검사 과정에서 살충제 잔류 검사 실시하지 않아

이데일리

[이데일리 채상우 기자] 살충제를 사용한 계란 농장의 59%가 ‘식품안전관리 인증기준(HACCP·해썹)’을 획득한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따르면 계란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돼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장은 49곳(18일 기준)으로 이 가운데 29곳(59%)이 HACCP 인증을 획득했다.

HACCP은 식품의 원재료부터 생산과 제조, 가공, 조리, 유통에 이르는 공정에서 위해 요소가 없음을 인증하는 위생관리체계다. 인증은 식약처 산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이 부여한다. 계란은 생산 단계와 유통·소비 과정에서 각각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생산단계 인증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유통단계 인증은 식약처가 인증원에 위탁했다.

인증원은 작년 11월부터 생산단계 인증에 살충제 잔류 검사를 포함했지만 살충제 계란을 걸러내지는 못했다. 인증원 관계자는 “HACCP 기준을 개정하고 일 년에 한 번씩 사후 점검을 하기로 했다”며 “하지만 작년 11월부터 올해 5월까지 조류인플루엔자(AI)로 농가 출입이 금지돼 사후관리를 못 한 사정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유통단계에서는 살충제 잔류 검사 자체가 포함되지 않았다. 식약처 관계자는 “계란 포장지에 HACCP 인증을 붙일 때는 동물용 의약품이나 미생물 등과 같은 잔류 물질 검사를 하고 있다”며 “앞선 생산 단계에서 살충제 검사를 하고 있어 유통 인증기준에는 살충제 잔류 검사가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