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진용 갖춘 검찰…국정원 댓글 등 적폐청산 수사시동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세훈 댓글수사팀 서울중앙지검 배치…재수사 수순

특검파견 검사 특수부 등 배치…국정농단 추가수사

뉴스1

서울중앙지방검찰청 . 2017.7.17/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최동순 기자 = 고위간부 및 중간간부 인사로 검찰이 새롭게 진용을 갖추면서 '적폐청산'을 강조해 온 문재인 정부의 사정 드라이브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윤석열 지검장이 이끄는 서울중앙지검은 원세훈 댓글수사팀부터 박영수 특별검사팀 파견 검사까지 총집결해 전열을 가다듬고 있다.

16일 검찰에 따르면 고검검사급 검사 538명, 일반검사 31명은 17일 자로 승진·전보된다.

과거 윤 지검장이 이끌었던 원세훈 댓글수사팀은 박근혜정부의 좌천성 인사로 한직을 맴돌다가 이번 인사로 화려하게 부활했다. 국가정보원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의 중간조사 발표로 과거 국정원이 최대 30개 사이버 외곽팀을 운영한 정황이 확인된 만큼 국정원의 불법 정치활동 전반에 대한 전면수사가 예고된다.

우선 댓글수사팀의 일원이었던 진재선 부장검사(30기)는 17일부터 주요 정치·선거사건을 전담하는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장을 맡게 된다. 댓글사건 공소유지팀 중 홀로 원 전 원장의 파기환송심 공소유지을 이끌어오고 있는 김성훈 부장검사(30기)는 서울중앙지검 공공형사수사부장을 맡는다. 특검팀 파견과 유학으로 각각 공소유지팀을 떠났던 이복현 검사(32기)와 단성한 검사(32기) 역시 이번 인사에서 서울중앙지검 부부장으로 전격 발탁됐다.

이들은 이명박 전 대통령 등 '윗선'을 향하고 있는 국정원 댓글사건 재수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른바 'SNS 장악 문건'의 구체적 작성 경위는 물론, 박근혜정부에서 국정원이 원 전 원장 관련 녹취록의 주요 내용을 삭제한 채 법원에 제출했다는 의혹도 수사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검찰은 국정원 적폐청산TF로부터 '사이버 외곽팀' 등 국정원 댓글사건 중간조사 결과를 넘겨받아 공소유지를 위한 자료검토에 들어갔다. 검찰은 자료분석을 토대로 원 전 원장에 대한 변론재개 요청을 이번 주 중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특검에서 활약했던 검사들은 국정농단 추가수사와 주요 기업수사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삼성 등 뇌물사건 수사를 맡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속을 이끈 한동훈 검사(27기)는 3차장에 보임돼 서울중앙지검 특수부 1~4부, 강력부, 첨단범죄수사1·2부, 공정거래조세조사부, 방위사업수사부 등을 지휘하게 된다.

특수1부는 감사원이 수사 의뢰한 박근혜정부 당시 면세점사업자 선정 비리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또 청와대가 특검에 넘긴 전 정부 민정수석실 문건 중 일부도 넘겨받아 내용과 작성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 특수1부는 특검에서 최순실씨를 직접 수사했던 신자용 부장검사(28기)가 담당한다. 특수3부와 특수4부는 각 양석조 부장검사(29기)와 김창진 부장검사(31기)가 맡는다.

박근혜정부에서 벌어진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수백억대 원가 부풀리기 의혹 등에 대한 수사는 내부 재정비 후 진행된다. KAI 비리의 '키맨'으로 지목된 전 인사팀 차장 손승범씨 검거를 담당해 온 이용일 부장검사가 방위사업수사부장으로 수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이밖에도 문재인정부의 기조에 따라 입찰비리 등 대기업 담합과 갑질을 뿌리뽑기 위한 검찰의 역할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dosool@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