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인천시, 해양박물관·광역급행철도 사업 '가시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천/아시아투데이 박은영 기자 = 인천시의 역점 추진사업인 국립인천해양박물관 건립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 노선) 건설 사업이 가시화되고 있다.

인천시는 해양박물관 건립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인천 송도∼청량리∼경기 마석) 건설 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기획재정부의 재정사업평가 자문위원회는 지난 11일 회의를 열고 이들 두 사업을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뽑았다.

인천 국립해양박물관 건립사업은 시가 국비 1315억원을 들여 2023년까지 월미도 갑문매립지에 연면적 2만2588㎡, 4층 규모로 신축하는 사업으로 2024년 개관 예정이다.

시는 수도권 2500만 시민에게 해양문화 체험과 교육의 장을 제공하고 해양 도시 인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자 해양박물관 건립 계획을 세웠다. 이어 지난 3∼4월 수도권 시민 107만여명으로부터 건립지지 서명을 받기도 했다.

해양박물관은 전국 18곳에서 국·공·사립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인 2500만명이 사는 수도권에는 단 1곳도 없다.

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 사업은 정부가 5조8319억원을 들여 인천 송도국제도시∼서울 청량리∼경기도 마석 사이 80.08㎞를 지하로 2025년까지 건설하는 사업이다.

개통되면 송도에서 서울까지 20분이면 주파할 수 있어 인천∼서울 사이 교통 편의가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시는 이 철도 건설에 매진했으나 2014년 2월과 올해 2월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정돼 잠시 좌초 위기도 맞았다.

이후 국토교통부와 협력해 송도∼청량리 구간을 마석까지 연장해 수도권 동북부 교통수요를 흡수시켜 사업성을 높이고 사업비 절감 방안을 마련해 ‘3수’만에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시는 관계 부처인 해양수산부·국토부 등과 협의해 두 사업의 타당성이 높게 나오도록 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