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삼성물산 4년 연속 시공능력 순위 1위…2위 현대건설 격차 줄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삼성물산 토목·토건·건축 분야 선두…아파트 1위는 대우건설

뉴스1

© News1 최진모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김희준 기자 = 삼성물산이 4년 연속 시공능력 순위 1위를 차지했다. 2위인 현대건설은 지난해보다 시공능력평가액 격차를 크게 줄였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Δ공사실적 Δ재무상태 Δ기술능력 Δ신인도 등을 종합평가한 결과 토목건축공사업에서 삼성물산이 시공능력평가액 16조5885억원으로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고 28일 밝혔다.

시공능력평가제도는 발주자가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건설업체를 분야별로 평가해 매년 공시하는 제도다. 조달청의 등급별 유자격자명부제와 중소업체 보호를 위한 도급하한제의 근거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번 시공능력평가는 전국 5만7682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는 전체 건설업체(6만4848개)의 88.9%에 해당된다.

이중 토목건축공사업에서 삼성물산은 지난해와 같이 1위를, 현대건설도 13조7106억 원으로 2위를 기록했다.

3위와 4위는 지난해에 비해 각각 한 계단 상승한 대우건설(8조3012억원)과 대림산업(8조2835억원)이, 5위는 두 계단 하락한 포스코건설(7조7393억원)이 차지했다.

6위와 7위는 GS건설(7조6685억원)과 현대엔지니어링(6조8345억원)이 지난해의 자리를 지켰다. 8위는 두 계단 상승한 현대산업개발(6조665억원)이, 9위와 10위는 롯데건설(5조4282억원)과 SK건설(4조6814억원)이 각각 차지했다.

삼성물산이 올해까지 4년 연속 1위를 차지한 원인은 2015년 제일모직과 합병으로 경영개선과 공사실적이 합산된 영향이 컸다. 시평액 평가는 3년 평균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합병 2년이 지난 시점에도 영향일 받았다는 평가다. 대신 지난해와는 달리 2위인 현대건설과의 격차는 크게(6조1000억원 → 2조9000억원) 줄었다.

올해 토목건축공사업의 시공능력평가 총액은 231조6000억원으로 지난해(225조5000억원)에 비해 소폭(2.7%) 증가했다.

종합건설업의 업종별 공사 실적(2016년 기준)은 토건 분야는 Δ삼성물산(8조2823억원) Δ현대건설(7조4783억원) Δ대우건설(6조7849억원) 순이었으며 토목 분야는 Δ삼성물산(2조5544억원) Δ현대건설(2조1926억원) Δ대우건설(1조9019억원) 순이었다.

건축 분야도 삼성물산(5조7278억원)이 1위를 차지했고 현대건설(5조2856억원)과 대우건설(4조8830억원)이 그 뒤를 이었다.

산업․환경설비 분야는 Δ삼성엔지니어링(5조606억원) ΔGS건설(4조4622억원) ΔSK건설(4조2340억원) 순이었다. 조경 분야는 제일건설(794억원)이 1위를, 대우건설(776억원)과 삼성물산(703억원)이 그 뒤를 이었다.

토목공종별로는 Δ'도로' 현대건설 Δ'댐' SK건설 Δ'지하철' 삼성물산Δ'상수도' 쌍용건설 Δ'택지용지 조성' 대우건설 등이 1위를 차지했다.

건축공종에서는 '아파트'와 '업무시설'은 대우건설이 1위를 차지했다. '광고업용 건물'은 삼성물산이 1위를 기록했다.

또 산업·환경설비업종별로는 Δ'산업생산시설' GS건설 Δ'화력발전소' 삼성물산 Δ‘에너지저장·공급시설' 대우건설 등이 각각 1위를 차지했다.

시공능력평가와 관련해 자세한 내용은 Δ대한건설협회(cak.or.kr)Δ대한전문건설협회(kosca.or.kr) Δ대한시설물유지관리협회(www.fma.or.kr)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9913@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