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사드 그 후` 보나…사흘간 中에 2.5조 베팅한 최태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K '차이나 인사이더' 재가동

매일경제

SK그룹이 최근 중국에 2조5000억원이 넘는 투자·출자 계획을 발표해 눈길을 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로 인한 제재 국면 이후를 대비하는 한발 빠른 움직임이라는 분석과 함께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006년 제시한 '차이나 인사이더(China insider)' 전략이 가시화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한 재계 관계자는 "SK의 중국 사업은 SK종합화학의 상하이세코 인수 실패와 SK이노베이션 배터리 공장 가동 중단 등 사드 제재로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최 회장이 중국에 더 과감한 투자를 결정한 것은 중국 정부에 긍정적인 신호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SK그룹은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사흘간 중국에 총 2조4247억원을 투자·출자한다고 공시했다. 최 회장이 재계에서 '중국통'으로 꼽히는 만큼 사드 제재 이후를 내다보고 한발 앞서 중국 사업에 속도를 붙이고 있다는 해석이다.

SK(주)는 25일 이사회에서 중국 2위 물류센터 운영기업인 ESR 지분 11.77%를 3720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의했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중국 물류시장에 뛰어들어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다지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중국 물류센터 산업은 2013년 23조원에서 2016년 42조원 규모로 성장했다. 향후 연평균 15% 성장이 예상돼 ESR 지분 인수에 다수의 글로벌 기업이 참여 의사를 밝혔던 것으로 전해졌다.

26일에는 SK(주)와 SK이노베이션이 잇달아 SK그룹의 중국 지주회사인 SK차이나 주식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실탄을 쏴줬다. SK(주)가 현물·현금 출자를 합쳐 SK차이나 주식 494만주(2618억원)를, SK이노베이션도 주식 798만주(4229억원)를 사들였다. 두 회사 출자 규모는 6847억원에 이른다. 여기에 SK하이닉스도 동참했다. SK하이닉스는 27일 SK차이나 주식 475만4868주(2518억원)를 취득했다. 회사 측은 "중국 내 적기 투자 기회를 확보하기 위한 출자"라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전날 중국 내 생산법인인 SK하이닉스세미컨덕터차이나에 1조1161억원을 출자하기도 했다. SK하이닉스세미컨덕터차이나는 SK하이닉스가 지분 90.26%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번 출자로 지분이 93.4%로 늘어나게 된다. SK하이닉스는 2020년까지 분할해 출자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자회사인 중국 우시 생산법인의 중장기 경쟁력 유지와 생산시설 보완 투자 재원 마련을 위해 이번 출자를 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흘 연속 이어진 중국 사업과 관련한 대규모 투자 결정에 대해 업계에서는 SK가 사드 제재 국면 이후를 대비해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SK그룹 관계자도 "중국 내에서 적기에 투자 사업을 확보하기 위해 미리 재원을 마련해 놓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에 제2의 SK를 세우겠다는 차이나 인사이더 전략이 재가동에 들어갔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 회장은 2006년 "차이나 인사이더란 중국 내에서 중국 기업 리더 또는 글로벌 메이저들과 경쟁해서 이길 수 있고 생존과 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 역량과 자세를 갖춘 기업"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