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걸프사태에 갑자기 '북풍'…"카타르-UAE '대북암거래' 폭로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박인영 기자 = 핵·미사일 실험으로 국제사회의 우려를 사는 북한이 카타르 단교 사태를 둘러싼 걸프 갈등에도 변수로 돌출했다.

카타르와 단교 사태를 주도한 아랍권 국가들이 미국이 예민하게 주시하는 불법적 대북거래를 폭로하며 서로 공격하기 시작한 것이다.

26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카타르와 단교 사태를 주도한 아랍권 4개국 사이에서 북한과의 관계는 상대를 음해하는 소재로 적극 활동되고 있다.

지난주에 카타르와 단교를 선언한 아랍에미리트(UAE)와 북한이 1억달러(약 1천113억6천만원) 규모의 불법 무기 거래를 했다는 보도가 나온 데 이어 지난 25일에는 의회전문지 더힐에 카타르가 북한과 "위험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기고문이 실렸다.

연합뉴스

북핵문제 둘러싼 지구촌 갈등(PG)
[제작 최자윤]



WP는 이러한 보도가 최근 카타르 단교 사태를 두고 당사국들이 벌이는 선전전의 연장 선상에서 나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UAE와 북한의 관계를 부각한 것은 사우디 정권에 비판적인 알리 알-아흐메드가 이끄는 워싱턴 DC 소재 싱크탱크 걸프문제연구소(GAI)였고 더힐 기고문은 사우디의 대미 로비 그룹 소속 알만 알-안사리가 작성했다.

현재 사우디, UAE, 바레인, 이집트 등은 외교, 경제관계 차단을 통해 카타르를 고립시키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WP는 이 같은 폭로전이 상대가 미국으로부터 미운 털이 박히도록 하기 위한 전략의 일부라는 취지로 해설했다.

실제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단교 사태 해결 방안을 두고 고민 중인 가운데 카타르와 아랍권 4개국은 미국 의회와 여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광범위한 노력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걸프왕정 카타르 집단따돌림(PG)
[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미국 정부는 최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이후 북한 관련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북 제재에 비협조적인 중국을 겨냥해 불만을 쏟아냈고 상대적으로 대북거래 규모가 작은 수단 등 다른 국가로도 눈을 돌려 불법 대북거래에 대한 제재를 경고하기도 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만약 카타르와 아랍권 국가 간의 폭로전이 가열될 경우 미국이 카타르와 UAE에 대한 제재에 나설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 미들버리국제학연구소의 앤드리아 버거 선임 연구원은 "미국은 대북제재를 이행하지 않는 개인이나 기업에 대한 추가 제재라는 경고사격을 가할 수도 있다"며 "그러한 경고에 신속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미국 정부는 더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불이익으로 위협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mong0716@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