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종합]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14조 달성···반도체·갤럭시S8 호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이건희 회장 공백 1000일 하루 앞둔 삼성


매출 61조원 기록···반도체와 부품, 갤럭시S8 글로벌 판매 호조 영향

2분기 약 13조원 투자에 하반기에도 부품 투자 확대

【서울=뉴시스】김지은 기자 = 삼성전자가 연결 기준으로 올 2분기 매출 61조원, 영업이익 14조원을 달성했다고 27일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2분기 실적에서 메모리 반도체 시황 호조 지속과 갤럭시 S8·S8+의 글로벌 판매 확대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0% 늘어난 61조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도 부품 사업에서 이익이 대폭 증가해 전년 동기 대비 5조9200억원 늘어난 14조700억원, 영업이익률 23.1%를 달성했다.

부품 사업에서는 ▲메모리 가격 강세 ▲고용량 서버용 D램과 SSD 판매 확대 ▲시스템LSI와 디스플레이 사업의 갤럭시 S8용 부품 판매 확대로 실적이 대폭 향상됐다.

세트 사업은 무선의 경우 갤럭시 S8 글로벌 판매 확대로 실적이 개선됐으나 TV는 패널 가격 상승으로 실적이 둔화됐다. 생활가전은 B2B시장 투자로 인해 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2분기 환영향의 경우 달러화가 원화 대비 약세를 나타내면서 부품사업을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약 3000억원 수준의 부정적 영향이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하반기에는 부품 사업 중심으로 실적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3분기는 디스플레이와 무선 사업의 실적이 둔화돼 소폭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하만 실적의 경우 영업측면에서 매출 19억 달러, 영업이익 약 2억 달러의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그러나 인수 관련된 비용이 발생해 순 영업이익은 약 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향후 수 분기 동안은 평균적으로 약 1억 달러 수준의 인수 관련 비용이 하만 실적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하만의 실적은 인수가 완료된 올해 3월 11일 이후부터 삼성전자의 실적에 반영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2분기 시설투자는 총 12조7000억원이 집행됐다. 이 중 반도체에 7조5000억원, 디스플레이에 4조5000억원이 투자됐다. 상반기 누계로는 22조5000억원이 집행됐다.

올해 시설투자 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지난해 대비 투자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중 메모리의 경우 V낸드 수요 증가 대응을 위해 평택 단지의 생산량 확대와 평면 낸드를 V낸드로 전환하는 투자가 이뤄질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스템LSI는 D램을 생산하는 화성 11라인 일부를 이미지센서 생산 라인으로 전환하는 투자가 진행된다. 파운드리는 10나노 신규 라인 증설이 진행 중이다.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OLED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생산량 확대에 투자가 이뤄진다.

삼성전자는 차후 반도체와 OLED 사업에서 세계 최고·최대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는 한편 기술 리더십 강화를 통해 주력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시스템LSI와 파운드리 사업도 각각 설계와 제조 역량을 강화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다만 IT 산업의 빠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M&A를 통한 첨단기술 확보와 전략적 투자를 통해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대내외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어려움도 예상된다"고 밝혔다.

whynot82@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