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CJ, 파견직 3008명 직접 고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文 만나기전 재계 '상생 동참'

재계가 27~28일 문재인 대통령과 첫 회동을 앞두고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협력업체 상생 방안을 쏟아내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핵심 과제인 일자리 창출에 재계가 코드를 맞추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26일 CJ그룹은 방송 제작과 조리원 직군의 파견직 3008명을 직접고용 형태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무기계약직의 직위를 변경해 '서비스 전문직'으로 바꾸고 정규직과 같은 복리후생을 제공할 계획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공식 간담회에 앞서 정부 정책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CJ그룹 관계자는 "새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호응하기 위한 결정"이라며 "CJ그룹은 앞으로 비정규직 인력의 직접고용과 처우 개선을 통해 차별 없고 동등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직접고용 형태로 전환하는 직군은 크게 두 가지다. CJ프레시웨이 '조리원' 직군 2145명과 CJ E&M, CJ오쇼핑, CJ헬로비전의 '방송 제작' 직군 291명과 사무보조직 572명 등이다. 해당 직군 파견직 총 3008명의 직접 고용은 파견 회사와 계약이 만료되는 시기 등을 감안해 연내에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조리원 직군 종사자들을 직접 고용하면 장기 근속이 가능해져 고용 불안이 크게 해소된다는 게 CJ그룹 측 설명이다. 조리원 직군 종사자들 절반 이상이 55세 이상의 취업 취약층으로 대부분 지속적 근무를 원하는 생계형 근로자이기 때문이다.

무기계약직 호칭이 '서비스 전문직'으로 바뀌는 것도 눈길을 끈다. CJ그룹은 무기계약직의 대부분이 서비스 직군에 근무한다며 이들의 위상을 높이고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이 같은 변화를 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비스 전문직이 되면 정규직과 동일한 의료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조치 덕분에 CGV, 올리브영, CJ푸드빌, CJ프레시웨이에서 근무하는 무기계약직은 앞으로 의료비 중 본인 부담금이 10만원을 초과하는 비용 전액을 지원받게 된다.

이날 삼성디스플레이는 2000억원 규모의 '물대(물품대금)지원펀드'를 조성해 대금 지급 프로세스를 개선한다고 밝혔다. 1·2차 협력사 간 대금 지급 과정에서 이뤄지고 있는 어음 또는 60일 내 결제 방식을 '30일 내 현금 지급'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 장치를 마련했다.

물품대금이 필요한 1차 협력사에 금융기관(기업은행, 우리은행)을 통해 무이자 대출을 지원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자를 물대지원펀드에서 충당하는 방식이다.

[이동인 기자 / 이희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