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선물 보따리 먼저 푼 재계…靑 호응 이끌어 낼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일부터 대통령·대기업 간담회

협력사 처우개선·투자계획 발표


재계가 27일부터 이틀동안 열리는 대통령 간담회 준비로 분주하다. 좋은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에 호응하고 협력사 처우 개선을 골자로 한 계획 발표 시점을 대통령 간담회 직전에 집중 배치하면서다. 대규모 투자 계획도 발표됐다. 원만한 대화 분위기를 조성하겠다는 재계의 의지가 읽힌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00억원 규모의 ‘물대지원펀드’를 조성해 27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26일 밝혔다. 핵심은 1차 협력사가 2차 협력사에 지급하는 물건 가격의 이자를 삼성디스플레이 측이 지원하는 것이다. 어음 결제 등으로 인해 자금난을 겪던 2차 협력사의 재정문제를 삼성디스플레이가 해결하겠다는 의지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2020년 7월까지 3년간 물품대금지원펀드를 운영할 계획이다. 제도 정착을 위해 수원 중소기업청에서 140여 1차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이 제도를 이미 지난 5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스마트폰용 OLED 생산을 위해 향후 3년간 파주 등지에 17조원을 국내에 투자키로 했다. 파주를 ‘글로벌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허브’로 만들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OLED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함으로써 중국 업체들의 맹추격을 따돌린다는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는 이번 대규모 투자에 따른 생산유발 효과가 56조원에 이르고, 21만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투자액 가운데 6조~7조원 가량은 국산 장비 업체에 혜택이 갈 것으로 분석된다.

SK그룹은 1차 협력사만 대상으로 운영하던 동반성장펀드 규모를 4800억원에서 62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SK그룹이 만드는 동반성장펀드 혜택을 누리는 대상도 2·3차 협력사로 확대한다.

현대·기아차는 최근 ‘선순환형 동반성장’ 5대 전략을 발표하면서 협력사의 해외진출 및 고용지원 확대를 약속했다.

두산과 두산인프라코어는 비정규직 450명 가량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포스코는 첨단 기술을 협력사와 공유하고 특허를 무상으로 이전하는 프로젝트를 가동중이다.

재계가 대통령 간담회를 앞두고 이처럼 정부의 국정 기조에 적극 호응하는 방향의 계획을 집중 발표함으로써 청와대가 어떻게 화답할지가 관심이다.

홍석희 기자/hong@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