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정미 "정부·여당 증세 방안, `부실증세`로 귀결될 수 밖에 없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정부와 여당의 증세방안에 대해 "규모가 3조∼4조원에 불과하고 세목과 대상자도 극히 일부로 제한하고 있어 '부실증세'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24일 국회에서 열린 상무위 회의에서 "정부가 그동안 모호했던 태도를 버리고 증세문제에 대해 논의를 시작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 조세 부담률은 국내총생산(GDP)의 18.3%로 2015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25.2%보다 6.9% 포인트, 즉 110조원이나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 여당의 부실한 증세방안은 복지공약을 후퇴시키고 국가채무를 급격히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또 "사회복지 지출은 OECD 평균과 비교하면 연 170조원이나 부족하지만, 국민은 실손보험, 생명보험, 연금보험 등 민간사 보험료를 1년에 200조원이나 지출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복지증세는 당연한 귀결"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복지증세에 대한 책임 있는 논의를 위해 여·야·정은 물론, 노사와 시민사회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국회 차원의 '중부담·중복지 사회를 향한 복지증세 특위'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아울러 "특위 구성을 통해 정치권은 책임 있는 증세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국민적으로 공론화함으로써 복지증세에 대한 사회적 합의안을 적극적으로 도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국 길나영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