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16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대비 3.9% 증가했다. 이는 1999년(6.1%) 이후 17년 만에 최고치다.
한은 측은 “2015년에 발생했던 가뭄 등 부정적 요인이 완화된 데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건설업과 서비스업의 증가율은 낮아진 반면 농림어업, 광업, 제조업, 전기가스수도업은 전년의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됐다. 특히 북한 미사일 개발 등의 영향으로 광공업 증가율은 6.7%로 1999년(10.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지난해의 경우 기저효과로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수 년간 추이를 보면 북한도 저성장 기조가 이어졌다. 1990년대 이후 성장률을 보면 2008년과 지난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마이너스 성장을 하거나 0~1%대 성장에 그쳤다. 경제수준이 훨씬 높은 남한보다도 성장률이 저조한 것으로, 중앙집권적인 경제 체제의 한계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지난해 북한의 국민총소득(명목 GNI)은 36조4000억원으로 한국(1639조1000억원)의 45분의 1 수준이었다. 또 1인당 국민총소득은 146만1000만원으로 한국(3198만4000원)의 22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지난해 북한의 대외교역 규모는 65억5000만달러(남북교역 제외)로 전년에 비해 4.7% 증가했다. 수출은 28억2000만달러로 동물성생산품, 광물성생산품 등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4.6% 증가했다. 수입은 37억3000만달러로 식물성생산품, 섬유류 등을 중심으로 4.8% 늘었다.
그러나 남북간 교역 규모는 전년 대비 87.7% 감소한 3.3억달러에 그쳤다. 지난해 2월 박근혜 정부의 개성공단 폐쇄 조치로 4월 이후 남북간 반출입 물량이 없어지면서 교역규모가 크게 감소한 것이다.
<이주영 기자 young78@kyunghyang.com>
▶ [경향비즈 바로가기], 경향비즈 SNS [페이스북]
▶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