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재건축 최대어' 반포주공1 현장설명회 개최, GS vs 현대 2파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시스】김민기 기자 = 강남권 재건축 '최대어'로 꼽히는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의 시공사 선정을 두고 대형사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그동안 GS건설이 가장 적극적으로 수주 전에 나섰지만 막판 현대건설이 욕심을 내면서 양사간의 치열한 수주 전쟁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현대건설과 GS건설, 대림산업 등 주요 대형 건설사들이 3~4년 전부터 이 단지를 수주하기 위해 물밑 작업을 벌여온 것이라 업계에서는 이번 입찰 결과를 두고 관심이 커지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강남 최대 규모 재건축 아파트인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의 현장설명회에 총 9개 건설사가 참여했다.

이 단지는 지상 5층 2090가구(전용면적 84~196㎡)에서 지하 4층~지상 최고 35층 5388가구(전용면적 59~212㎡) 규모 대단지로 탈바꿈한다. 지난달 서울시 건축심의를 조건부로 통과했다.

9개 건설사는 현대건설, 롯데건설, GS건설, 현대산업개발, 대림산업, 현대엔지니어링, 포스코건설, 대우건설, SK건설 등이다. 삼성물산은 이번 설명회에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이번 수주전에서는 빠지게 됐다.

입찰 마감일은 9월 4일이며 이후 조합은 대의원회를 열어 총회에 상정할 건설사를 선정한 뒤 같은 달 28일 시공사 선정총회를 열 계획이다.

이 단지는 건설사가 재건축 사업의 일부 리스크를 부담하는 '공동사업시행' 방식으로 진행된다. 공동시행 방식은 건축심의 이후 바로 시공사를 선정할 수 있어 사업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내년부터 부활하는 초과이익환수제를 피할 수 있다.

이번 사업의 공사비는 2조6400억원이다. 입찰보증금만 1500억원에 달한다. 전액 현금 납부하거나 현금 500억원과 이행보증보험증권 1000억원으로 나눠 낼 수 있다.

건설사 입장에서는 부담이 되긴 하지만 이 단지를 수주할 경우 아파트 브랜드 가치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고 다른 한강변 재건축 단지 수주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돼 대형 건설사들이 대거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반포1단지 재건축 사업은 총 5388세대의 한강변 대규모 단지로, 향후 강남의 랜드마크가 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재건축 단지가 될 것"이라며 "하지만 천문학적인 공사비와 사업초기 1500억원에 달하는 입찰보증금 등 때문에 실제 입찰에서는 대형사만 참여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특히 반포지구 수주전에서 가장 적극적인 건설사는 GS건설이다. 전통적으로 서울 강남 재건축 시장에서 강세를 보여 온 GS건설은 이번 수주를 위해 강남의 알짜사업지로 불리던 서초 신동아아파트 재건축 수주전에서 발을 뺄 만큼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다.

GS건설은 이번 수주를 통해 서초 반포시대의 서막을 연 반포자이를 뛰어넘는 자이(Xi)의 대표 아파트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GS건설은 "아파트 시공능력과 브랜드 경쟁력, 마케팅 능력에서 우위를 바탕으로 수주전에 뛰어들 것"이라며 "자이는 강남시장에서 최선호 아파트로 손꼽혀 브랜드 경쟁력에서 한발 앞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대건설 역시 입찰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미 입찰보증금이 1500억에 달하는 방배5구역 재건축 사업에 단독으로 응찰한 것은 물론 이번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대건설은 "개포에서 선보였던 디에이치 브랜드를 한강변 재건축 시장에도 구축한다는 계획"이라며 "이번 반포1단지 수주가 이 계획에 정점을 찍을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크로리버파크(신반포1차 재건축), 아크로리버뷰(신반포5차 재건축)로 반포에 깃발을 꽂은 대림산업도 이번 수주전에 적극적이다.

한편 삼성물산은 반포1단지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현장 설명회는 참여를 하지 않았다.

이 단지 인근의 신반포3차·경남아파트 재건축을 맡았고 인근 반포 래미안퍼스티지가 반포 랜드마크 단지로 자리잡고 있어 삼성 브랜드 타운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삼성물산은 이 단와 더불어 최근 방배5구역과 서초 신동아 아파트까지 사업 참여를 하지 않으면서 주택사업 컴백은 미뤄졌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반포의 경우 공동시행 방식으로 진행되는 데 향후 미분양이 나면 건설사가 모든 부담을 떠 앉아야 된다"면서 "사업부에서 사업성을 검토한 결과 참여하지 않는 게 낫다는 판단을 했다"고 말했다.

kmk@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