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면세점업계, 여름철 맞아 자외선 차단제 매출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라, 3년새 매출 3.4배 ↑ 남성고객 매출도 79% ↑


폭염이 이어지면서 면세점업계가 자외선차단제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피부 미용에 관심이 높은 국내 소비자들에게 자외선 차단제는 해외 출국 시 면세점에서 반드시 구매하는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잡으면서 면세점의 자외선차단제 매출이 급증하고 전체 화장품 매출에서 자외선차단제의 매출비중도 급등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20일 면세점업계에 따르면 신라면세점의 경우 2014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최근 3년간 서울점과 인터넷면세점을 기준으로 내국인의 자외선 차단제 매출을 분석한 결과 자외선 차단제의 매출이 급증했다. 지난해 자외선 차단제 매출은 2014년에 비해 약 2.3배 증가한 데 이어 올해 상반기 매출은 2014년 상반기에 비해 3.4배나 늘었다.

자외선 차단제가 메이크업 카테고리 내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도 2014년 6%에서 올 상반기에는 10%로 높아졌다. 자외선 차단제는 립스틱, 파운데이션, 아이섀도 등과 함께 화장품 중 '메이크업 카테고리'에 속한다.

메이크업 카테고리 내에서 자외선 차단제 매출 순위는 2014년 5위, 2015년 6위, 2016년 6위에서 2017년 상반기에는 립스틱, 파운데이션에 이어 처음으로 3위를 차지했다.

여성고객의 2016년 자외선 차단제 매출은 2014년과 비교해 158% 늘었고 매출 비중은 꾸준히 70% 이상을 차지해 피부 관리에 대한 여성의 관심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동안 남성고객의 자외선 차단제 매출도 79% 증가해 피부관리에 대한 남성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남녀 모두 30대의 매출 비중이 가장 높았다. 여성의 경우 2030세대가 매년 전체 매출의 약 70% 이상을 차지했지만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피부관리를 늦게 시작하는 남성의 경우에는 3040세대가 75% 이상으로 주 구매 고객층을 이뤘다.

한편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고객의 관심이 높아지고 더 자주 사용하게 되면서 브랜드와 제품의 형태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과거에는 로션 제형의 내용물이 튜브 용기에 들어있는 선크림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젤, 파우더, 스틱, 스프레이, 쿠션 등 다양한 형태의 자외선 차단제가 출시돼 개인의 선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신라면세점에 입점한 자외선 차단제품 관련 브랜드 수도 2014년 64개에서 2017년 125개로 약 2배 늘었으며, 현재 판매하는 자외선 차단 관련 제품은 360개가 넘는다.

신라면세점 관계자는 "본격적인 여름 휴가 성수기에 접어들면서 자외선 차단제품의 매출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면서 "신라면세점의 강점인 화장품 향수 카테고리와 관련된 고객 소비 패턴 변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해 신규 브랜드나 인기 제품 등을 발 빠르게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padet80@fnnews.com 박신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