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닷컴버블` 넘어선 美기술주…韓증시도 훈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에서 정보기술(IT)업종 지수가 2000년대 초반 '닷컴 버블' 시대 최고 기록을 넘어서는 신기원을 열었다.

지난 19일(현지시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IT업종 지수는 9일 연속 상승하며 992.29를 기록했다. 닷컴 버블이 정점에 섰던 2000년 3월 27일의 대기록(988.49)을 무려 17년4개월 만에 갈아 치운 것이다.

S&P500을 구성하는 11개 섹터 가운데 IT업종은 올해 23%가량 올라 단연 최고의 상승세다. S&P500 IT업종 지수는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보다 상승 속도가 더뎠다. 올해 최고의 주가 상승세를 보이는 아마존닷컴, 넷플릭스 등이 IT업종 구성 종목에서 빠져 있고, IBM 등 무거운 종목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반면 나스닥은 올해 들어 벌써 40번이나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IT주가 고평가 영역에 들어섰다는 일각의 우려에도 S&P500 IT업종 지수까지 신기록을 쓰면서 "닷컴 버블 붕괴의 악몽은 잊어라"라는 긍정론이 쏟아져 나왔다. 하워드 실버블랫 S&P다우존스지수 인덱스 애널리스트는 "지금은 아버지 시대의 시장이 아니다"며 "(기업) 이익은 그때보다 훨씬 더 공고하다"고 진단했다.

매일경제

버블 붕괴로 S&P500 IT업종이 수개월 만에 주가 상승분의 80%를 날렸던 2000년 당시엔 시스코, 마이크로소프트(MS), 인텔, 오라클, IBM 등이 시가총액 상위 기업이었지만, 지금은 대장주 애플을 비롯해 알파벳, MS, 페이스북, 비자 순으로 면면이 크게 바뀐 상태다.

또 S&P500 IT업종의 올해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19.4배로 2000년 1분기의 73배에 비해 훨씬 낮은 상태로 분석됐다.

미국 기술주들의 고공 행진은 한국 IT·반도체 업황은 물론 증시에도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미국발 훈풍으로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11.9포인트(0.49%) 오른 2441.84로 마감했다. 6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2440 선을 돌파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전날보다 2만3000원(0.91%) 오른 256만원을 기록했다. 연일 사상 최고가를 새로 쓰는 코스피를 삼성전자를 주축으로 한 전기전자업종이 주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미국 증시도 기술주가 선봉에 서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실제로 지난달까지 코스피와 S&P500은 각각 7개월, 8개월 연속 상승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전기전자업종 지수는 연초 대비 42% 이상 상승했다. IT주를 공통분모로 삼아 한미 증시가 '커플링(동조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특히 미국 기술주 동향은 글로벌 IT·반도체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로 작용하는 데다 전 세계적으로 IT업종 전체 이익 추정치가 다른 업종 대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전기전자업종의 12개월 선행 주당순이익(EPS)은 한 달 전에 비해 4.5% 증가해 2위인 금융업종(1.6%)과 큰 격차를 나타내고 있다. EPS는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증가할수록 경영 실적이 양호하다는 의미다.

이종우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2000년과 최근 흐름을 보면 미국 기술주와 국내 반도체·IT 업황이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며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영우 SK증권 연구원은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수요가 폭발하면서 반도체 설비투자의 슈퍼사이클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며 "관련 종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한국과 미국 기술주들의 성격이 다르다는 점에서 추세적인 동조화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남대종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기술주들은 소프트웨어 중심의 IT 기업들이 주를 이루는 반면, 우리는 하드웨어 기업이 다수를 점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LG디스플레이는 패널 가격이 시장 예상보다 가파르게 하락하고 있다는 소식에 이날 8.17% 급락했다. LG디스플레이 주가가 하루에 8% 이상 하락한 것은 2011년 9월 이후 6년 만이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의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두 달 전 9312억원에서 최근 8665억원으로 7%가량 낮아졌다.

코스닥도 전일 대비 4.98포인트(0.74%) 오른 676.51을 기록해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외국인들이 7거래일 연속 순매수한 가운데 전날 문재인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발표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등 관련 종목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신헌철 기자 / 이용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