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2년만에 방사청이 개발해낸 '105㎜ 자주곡사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차량에 탑재돼 기동성이 대폭 향상된 구경 105㎜의 곡사포가 국내 기술로 개발됐습니다.

방위사업청은 28일 "기존 105㎜ 견인곡사포를 차량에 탑재하고 자동화 사격체계를 적용해 성능 개량한 105㎜ 자주곡사포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신형 105㎜ 자주곡사포는 시험평가에서 군의 요구성능을 모두 충족해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내년부터 양산에 들어가 일선 부대에 배치될 예정입니다.

곡사포(howitzer)는 포탄 비행 궤적이 곡선을 그려 장애물 뒤에 있는 표적을 파괴할 수 있는 화력 무기체계입니다. 곡사포 앞에 붙은 '자주'(自走)는 자체 동력으로 기동한다는 의미입니다. 우리 군의 대표적인 자주곡사포로는 구경 155㎜의 K-9 자주포가 있습니다.

기존 105㎜ 견인곡사포도 2개의 바퀴가 달려 있고 차량으로 끌어 이동하지만, 발사를 앞두고 지상에 고정하기 때문에 적과 교전할 때는 사실상 신속한 기동이 불가능합니다. 발사 원점을 탐지한 적의 표적이 되기 쉽습니다.

신형 105㎜ 자주곡사포는 5t 군용 트럭에 105㎜ 견인곡사포의 화포를 탑재한 것으로, '사격 및 진지 이탈'(Shoot & Scoot)이 가능하다. 여기에 자동사격통제장치와 복합항법장치를 결합해 기동 중 실시간 표적 탐지를 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 장치를 탑재한 105㎜ 자주곡사포는 운용 병력이 5명으로, 견인곡사포(9명)보다 적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방사청은 "105㎜ 자주곡사포는 기존 견인곡사포에 비해 화력 지원 능력이 크게 향상돼 보병여단의 독자적 작전 수행을 보장하고 전투원의 생존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105㎜ 자주곡사포가 개발된 것은 방사청이 2015년 7월 연구개발에 착수한 지 약 2년 만이다. 연구개발 주관기관은 국내 방산업체 한화테크윈입니다.

방사청은 105㎜ 자주곡사포가 세계 방산시장에서도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김현욱 방사청 포병사업팀장은 "105mm 자주곡사포의 국내개발로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과 수출 발판을 마련해 국익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